•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의협, 이번주 총파업 투표…국민 85% "환자곁 돌아가야"

등록 2024.06.03 15:18:02수정 2024.06.03 17:58: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보건의료노조, 국민 1000명 여론조사 결과

의사들 집단행동 존중·지지 응답은 12.0%

'의대 증원 백지화' 찬성은 29.1%로 집계돼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을 이탈한 지 100일째인 지난달 29일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이탈 전공의들은 생활고 속에서도 복귀하지 않고 있고, 병원들은 환자가 줄면서 적자 비상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2024.05.29.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을 이탈한 지 100일째인 지난달 29일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이탈 전공의들은 생활고 속에서도 복귀하지 않고 있고, 병원들은 환자가 줄면서 적자 비상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2024.05.2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우리 국민 10명 가운데 8명은 의사단체가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의견을 가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존중하고 지지한다는 의견은 일부에 그쳤다.

보건의료노조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달 28일~29일 이틀간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대 증원과 의료개혁에 대한 국민여론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우선 '법원의 판결에도 불구하고 의대 증원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사 단체들의 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은 '반대'가 65.3%로 '찬성' 29.1%보다 2배 이상 더 많았다. '의사단체 주장대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응답은 29.1%였으며,  '정부 계획대로 의대 증원을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은 65.3%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5.6%로 나타났다.

의사 집단행동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대한 찬성은 12.0%인 반면 반대가 85.6%로 많았다. '전공의와 의대 교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진행한 진료거부, 집단 사직, 휴진 등의 집단행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응답은 85.6%로 높았고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존중하고 지지한다'는 응답은 12.0%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4%였다.

이번 국민여론조사에서는 전공의 수련병원 지원에 대해서도 물었다. '의사 집단행동으로 발생한 수련병원의 필수·중증·응급의료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수련병원을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국민 82.2%가 '찬성한다'고 응답한 반면 '반대한다'는 응답은 12.7%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5.1%를 기록헸다.
 
공공병원을 지원해야 한다는 국민여론도 높았다. 찬성 의견은 85.9%였다. '지방의료원과 적십자병원과 같은 공공병원들의 기능이 회복되고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기능이 회복되고 정상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85.9%였고, '코로나19가 끝났으므로 더 이상 지원하지 않아도 된다'는 응답은 11.6%에 불과했다. 나머지 2.5%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또 의료개혁 핵심과제에 대한 국민 공감과 지지 여부도 함께 물었다. 지역의사제 도입에 대해서는 85.3%의 국민이 찬성했고, 지역 병원의 의사 구인난과 지역 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역 병원에서 의무적으로 일할 의사를 양성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85.3%가 '찬성한다'고 응답했고, '반대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9.7%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5.1%였다.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서는 81.7%가 찬성했다. '공공병원의 의사 구인난을 해결하고, 공공병원에서 의무적으로 근무할 의사를 정부가 책임지고 양성하는 공공의대 설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찬성 응답은 81.7%였고, 반대 응답은 13.6%에 였다. 4.6%는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했다.

무분별한 개원을 통제하는 정책에 대해서도 찬성이 높았다. '동네 의원으로 의사들이 몰리는 것을 막고 종합병원에서 필수·중증·응급 의료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무분별한 개원을 통제하는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은 찬성이 55.0%, 반대가 34.0%였고,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1.0%였다.

무분별한 병상 증축을 통제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62.0%가 찬성했다. '병상 과잉과 수도권 병상 쏠림현상을 해결하고 적정한 병상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분별한 병상 증축을 통제하는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찬성한다'는 응답은 62.0%, '반대한다'는 응답은 29.1%,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8.9%였다.

의료개혁 관련 의사단체의 입장에 대한 의견으로는 '의료개혁을 위한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의대 증원을 백지화하지 않으면 의료개혁을 위한 대화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단체들의 입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국민 86.5%가 '의대 증원과 관계없이 대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대화를 거부하는 의사단체 입장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11.2%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3%였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 단체들이)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개혁 대화에 참여하라는 것이 국민여론"이라며 "'전공의, 학생, 교수뿐만 아니라 개원의와 봉직의까지 큰 싸움에 나와달라'며 강경투쟁을 선동하는 의협의 태도는 국민여론에 역행하는 처사이며, 국민의 거대한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의사단체들은 더 이상 의대 증원 백지화를 내세워 의료개혁을 위한 대화를 거부하지 말고, 대화에 참여하라는 국민의 뜻에 따라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유무선 RDD(Random Digit Dialing)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 신뢰수준은 95%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