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통일부 "북 '태양절' 표현 삭제…김정은 '홀로서기' 일환"

등록 2024.04.16 11:44:1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당국자 "정상국가 위해 신비화 자제 가능성"

선대 유훈 부정한 김정은 '2국가론'도 의식한 듯

[평양=AP/뉴시스] 북한 최대 명절인 김일성 주석 생일(태양절)을 맞아 15일 평양 시민들이 만수대 언덕의 김일성(왼쪽)과 김정일 동상을 참배하고 있다. 2024.04.15.

[평양=AP/뉴시스] 북한 최대 명절인 김일성 주석 생일(태양절)을 맞아 15일 평양 시민들이 만수대 언덕의 김일성(왼쪽)과 김정일 동상을 참배하고 있다. 2024.04.15.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북한이 최대 명절인 김일성 주석 생일(4월15일) 112주년인 올해 기존의 '태양절' 명칭 대신 다른 표현을 사용한 데 대해 통일부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홀로서기'를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16일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과거와 비교하면 의도적으로 '태양절'을 다른 용어로 대체하거나 '태양절' 표현만 삭제하고 있다"며 "김일성 생일을 맞아 진행된 여러 정황에 따르면 '태양절' 이름이 '4·15절'로 바뀌었다고 잠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노동신문,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전날 한 개 기사에서 '태양절' 명칭을 사용한 것 외에는 모두 '4월 명절', '4·15' 등 표현을 썼다. 북한은 김일성 3년상을 끝낸 1997년 7월8일 김일성이 태어난 1912년을 원년(1년)으로 하는 주체연호를 사용하고, '4·15절'로 부르던 김일성 생일을 '태양절'로 제정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2월16일)을 지칭하는 '광명성절' 역시 이틀 뒤인 2월18일부터 북한매체에서 사라졌다.

이처럼 김일성·김정일 선대를 찬양하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데 대해 당국자는 "지나친 신비화를 피하려는 의도가 반영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2019년 3월 "수령의 혁명 활동과 풍모를 신비화하면 진실을 가리우게(가리게) 된다"고 말한 바 있다.

일각에선 경제난으로 주민들 생활이 어려운 상황에서 선대를 비현실적으로 신비화하는 선전·선동 방식이 주민 공감을 얻기 어렵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아울러 당국자는 "선대 의존을 벗어난 김정은 홀로서기 일환이거나, 사회주의 정상국가화 추세에 맞춰 신비화 표현 사용을 자제하고 있을 가능성도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각각 '민족의 태양', '21세기의 태양'이란 우상화 칭호로 떠받들어지는 김일성·김정일의 그림자를 떨치고 김 위원장을 부각하려는 시도라는 분석이다. 앞서 조선중앙TV 화면에 잡힌 현수막 등을 통해 '주체조선의 태양', '김정은 장군 만세' 같은 김 위원장 우상화 선전 문구가 포착된 바 있다.

김 위원장이 대남전략을 전환한 것도 연관이 있어 보인다. 전문가들은 선대에서 쌓아온 통일원칙이 김 위원장의 독자적인 '2국가론'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해왔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연말 당 전원회의를 기점으로 남북관계를 '동족관계'가 아닌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규정했다.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명기된 '조국통일 3대 원칙'인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표현을 헌법에서 삭제하고, 김일성 통일유훈을 상징하는 '조국통일 3대 헌장 기념탑'도 철거하라고 지시했다.

세습 기반인 '선대 수령'의 유훈을 어기고 업적을 부정하는 건 북한에서 매우 이례적인 행보다.

한편 아직 북한 매체는 광명성절·태양절 용어가 사라진 배경을 설명하지 않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