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청년, 영끌투자 괜찮을까①]"코인 벼락거지 면하려다"…2030패닉

등록 2021.06.26 10:00:00수정 2021.07.05 09:12: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코인 10개 중 9개 3개월 전보다 '뚝'

대박 꿈꾸던 2030…변동성에 비명

영끌·빚투족 경고 목소리도 커진다

[그래픽=뉴시스]

[그래픽=뉴시스]

[서울=뉴시스] 유자비 기자 =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급락세를 보이면서 2030세대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졌다. 올해 청년층은 '벼락거지'를 피하기 위해 가장 활발하게 코인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예상하기 힘든 급등락장에 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빚투(빚내서 투자)·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족들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26일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전날 오후 2시 기준 3개월 전보다 가격이 오른 암호화폐는 전체 107종 암호화폐 중 9종에 불과했다. 나머지 98종(91%)의 암호화폐 가격이 하락했다.

3개월전 대비 50% 이상 떨어진 암호화폐는 70종(65%)에 달했고, 이 중 90% 이상 떨어진 암호화폐는 3종이었다. 기간을 넓혀 6개월전과 비교하면 10개 중 9개의 암호화폐 가격이 올랐지만, 뒤늦게 시장에 뛰어든 투자자들은 손실을 봤을 가능성이 크다.

대장주 비트코인의 경우 지난 4월14일 8199만원으로 최고점을 찍은 뒤 4000만원대로 내려오며 반토막났다. 암호화폐 시장이 각국의 강력한 규제, 국내 거래소들의 대량 상장 폐지, 금리 인상 우려 등으로 조정 기간이 길어지자 "강세장이 끝난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주요 투자층인 2030세대의 한탄이 이어지고 있다. 2030세대는 부동산 등 기존 투자처보다 진입문턱이 낮은 암호화폐를 마지막 '대박' 기회로 삼아 올해 코인 투자 열풍에 적극 뛰어들어왔다. 

실제 권은희 국민의당 의원실에 따르면 국내 4대 암호화폐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의 올해 1분기 신규 가입자 총 249만5289명 중 20대와 30대가 각각 81만6039명(32.7%), 76만8775명(30.8%)으로 전체의 63.5%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예치금 증가율도 20대가 154.7%, 30는대 126.7%로 크게 늘었다.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24일 오전 서울 강남구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 강남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2021.06.24.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24일 오전 서울 강남구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 강남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2021.06.24. [email protected]

문제는 빚을 내서 투자한 젊은 층도 상당할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지난 12일 발표한 '국내 가계부채 리스크 현황과 선제적 관리 방안'에 따르면 금융권에서 새로 가계대출을 받은 신규 차주수 및 신규 대출금 가운데 30대 이하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1.9%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 58.4%로, 대출 규모도 같은 기간 46.5%에서 55.3%로 상승했다.

연구원은 주로 주택 가격 상승 기대 및 주식과 암호화폐 등 레버리지 투자 열풍에 편승하기 위한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이전까지는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했지만 이후로는 신용대출이 증가세에 가세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말 청년 다중채무자 대출잔액은 전년 말 대비 16.1% 증가한 130조원 규모에 이르렀다.

신용상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청년층의 주식 및 암호화폐 투자 열풍 등을 고려하면 올해 들어 청년층의 비은행-신용대출 비중이 더욱 커졌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금리 기조 속에서 대출 규모를 늘려 투자해온 청년층이 금리 인상시 받을 타격이 상당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은 "청년층이 주식이나 암호화폐에 빚을 내서 많이 투자하고 있으나 금리 인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미 상투(고점)를 잡았을 수 있고 원리금 상환도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