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외교부 "러, 북한과의 군사협력 동향 상세히 설명해야"

등록 2024.07.02 16:10:06수정 2024.07.02 18:08: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라오스 ARF 회의 계기 한러 양자회담 개최 '주목'

정부, 北 최선희 참석 가능성엔 "예단 적절치 않아"

[평양=AP/뉴시스]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북한 평양에서 푸틴 대통령 공식 환영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06.19.

[평양=AP/뉴시스]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북한 평양에서 푸틴 대통령 공식 환영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06.19.

[서울=뉴시스] 변해정 기자 = 정부가 대북제재 체제를 위반하는 물적 증거가 없다고 버티는 러시아를 향해 북한과의 군사협력 동향을 설명할 것을 촉구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군사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그 어떠한 군사 협력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위반"이라고 밝혔다.

임 대변인은 이어 "만일 그러한 증거가 없다고 한다면 현재 러시아와 북한 간에 이뤄지고 있는 제반 군사 협력 동향에 대해서 러시아 측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해야 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해 나가기를 바라고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바실리 네벤쟈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지난 1일(현지시각) 7월 유엔 안보리 의장국 자격으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러시아의 거듭된 안보리 결의 위반에 관한 질문을 받고선 "우리는 대북제재 체제를 위반하고 있지 않으며, 제기되는 모든 의혹은 물적 증거에 의해 입증되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네벤쟈 대사는 지난달 28일 6월 의장국인 한국을 대표하는 황준국 주유엔 대사 주재로 진행된 '북한/비핵화' 공식 회의에서도 "서방 이사국 동료들은 러시아가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고 근거 없이 고발하고 있다"면서 "북한과의 협력은 전적으로 건설적이고 합법적인데다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군사 활동과는 달리 누구도 위협하지 않는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러 간 대화 채널은 북러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조약(북러 조약)' 체결에도 계속 가동 중이다. 지난달 24일(현지시각)에는 이란 테헤란에서 열린 '제19차 아시아협력대화(ACD) 외교장관회의'에서 정병원 차관보와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이 짧은 시간 조우하기도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구체적으로 말하지는 못하지만 한러 간 필요한 소통은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이달 말 라오스에서 개최되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계기에 러시아 및 중국과의 양자 면담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RF는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다자 안보협의체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10개국과 한미일 3국, 중국, 러시아 등 총 27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현재 외교가에선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이번 ARF 회의에 참석할 지에 주목하고 있다. 북러 양국으로선 이번 ARF 무대가 북중러 3각 협력 가능성을 국제사회에 과시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이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단절 조짐을 보이는 북중 관계를 감안할 때 중국 측 호응은 낮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임 대변인은 "ARF 회의에 참석하는 각국의 수석대표는 의장국인 라오스 측이 발표하게 돼 있다. 아직 그런 발표는 없고 (최 외무상을 포함해) 여타국의 참석 여부에 대해 우리가 먼저 예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조 장관이 참석하게 되면 여러 회원국 장관들과 자연스럽게 만나게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