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리스크 부담 덜어낸 이재명 지지율 여전히 박스권…중도 확장성 관건
선거법 2심 무죄에도…여론조사 지지율은 소폭 하락
중도 확장 쉽지 않아…이 대표 측 "일희일비 할 필요 없어"
이 대표, 당분간 민생 현장 행보 집중할 듯

[서울=뉴시스]조재완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선거법 항소심 무죄로 '사법리스크' 부담을 덜어내면서 박스권에 갇혀있던 지지율에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 대표 무죄 선고(26일) 후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이 대표의 선거법 재판 결과가 당장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선거법 2심 무죄 이후 나온 여론조사에서는 지지율이 소폭 하락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조사한 차기 장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이 대표 지지율은 34%로 전주 대비 2%포인트(p) 빠졌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지지율이 31%로, 전주 대비 2%p 내렸다.
차기 주자 조사에서 '없음·모름·무응답' 등을 모두 더한 부동층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부동층은 지난 2월 2주차(30%)부터 6주 연속 꾸준히 늘어 37%였고, NBS 조사에서도 35%로 전주(31%)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사에서 '정권교체론'이 50% 안팎으로 나오는 것에 비해 이 대표 지지율은 30%대 박스권에 갇힌 상황이다.
한국갤럽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NBS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 대표 측은 사법리스크가 기존 지지율에 반영돼있는 만큼 일희일비 할 필요 없다는 반응이지만, 중도층을 끌어오는 과제가 녹록지 않다는 데는 공감하는 분위기다. 최근 정책 '우클릭'과 함께 당내 통합 행보를 부각하는 등 외연 확장에 공을 들여왔지만 이렇다 할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평가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여론조사 결과에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 지도부 한 관계자는 "중도층은 결국 대세에 따라 움직이게 돼 있다"며 "윤 대통령 파면이 확정된다면 자연스레 차기 유력주자를 중심으로 결집 흐름이 형성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표는 선거법 위반 항소심 무죄 선고 직후 곧바로 영남 지역으로 내려가 산불 피해 현장을 점검하는 민생행보를 이어갔다.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한 추경(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촉구하는 등 당분간 민생을 돌보는 차기 주자 면모를 부각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wander@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