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文, 김기표 비서관 사실상 경질…靑 "국민 눈높이에 맞춰 조치"(종합)

등록 2021.06.27 15:03:0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동산 91억 중 빚 56억…송정동 '맹지' 투기 의혹도

金 "투기목적 아니지만 국정 부담돼서는 안된다는 뜻"

靑 "본인 이야기 안한 부분을 알 순 없어" 부실검증 논란

[서울=뉴시스]문재인 대통령은 31일 오전 반부패비서관에 김기표 법무법인(유한) 현진 대표변호사를 내정했다. (사진=청와대 제공) 2021.03.3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27일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돼 사의를 표명한 김기표 전 청와대 반부패비서관. (사진=청와대 제공) 2021.03.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안채원 기자 = 부동산 투기 의혹이 일었던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27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문 대통령은 사의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김 비서관의 투기 의혹이 제기된지 이틀 만으로, 사실상 경질 인사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 3월31일 임명된 김 비서관은 3개월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청와대를 떠나게 됐다.

박 수석은 "반부패비서관은 투기목적으로 부동산을 취득한 게 아니더라도 국민이 바라는 공직자의 도리와 사회적 책임감을 감안할 때 더 이상 국정운영에 부담이 돼서는 안된다라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김 비서관의 투기 의혹은 정부공직자윤리원회가 지난 25일 공개한 6월 고위공직자 수시재산 등록내역을 통해 제기됐다.

우선 김 비서관은 부동산 자산으로 서울 강서구 마곡동 상가 2채(65억4800만원) 등 총 91억2623만원을 신고했는데, 이중 금융 채무가 56억2441만원이었다. 이를 두고 무리한 대출로 수도권 상가 매입 자금을 마련, 사실상 '투기'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 비서관이 토지 자산으로 신고한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 일대 임야 1578㎡(4907만원)와 관련한 투기 의혹도 제기됐다. 해당 부지는 도로와 맞닿은 부분이 전혀 없는 '맹지'(盲地)지만, '1㎢ 부근의 송정지구 개발사업 대상지 부지와 인접해 있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향후 개발 호재를 노린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가 아니냐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논란이 제기된 재산 내역이 인사 검증과정에서 확인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인사 검증시 부동산 내역을 확인했고, 각각의 취득 경위와 자금조달 방식 등을 구체적으로 점검했지만 투기목적의 부동산 취득은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본인이 취득한 부동산에 대해 향후에 처분할 계획을 말했고, 이미 오피스텔에 관해서는 처분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등 (다른 부동산도) 그런 (처분) 과정에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그리고 어제 본인이 해명이 있었다"고도 전했다.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27일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최근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 경질 관련 브리핑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2021.06.27.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27일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최근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 경질 관련 브리핑을 하기 위해 단상으로 향하고 있다. 2021.06.27. [email protected]

김 비서관은 이번 재산 등록 내역에 포함된 총 91억여원 규모의 부동산 자산 중 서울 중구 충무로 오피스텔(1억9650만원)은 지난 4월15일 매각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광주시 송정동 일대 임야 부지 매입 관련 '투기 의혹'에 대해선 전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해당 토지는 자금사정이 좋지 않던 지인이 매수를 요청해 부득이하게 취득하게 된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그러나 그 설명이 국민의 눈높이에 납득할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면 이것은 당연히 인사권자로서 국민이 납득할만한 수준에 부합한 조치를 하는 것이 마땅하고 그것이 국민의 눈높이에 귀를 귀울이는 모습이라고 하는 판단으로 이해해달라"며 문 대통령이 김 비서관의 사의를 수용한 배경을 밝혔다.

한편 이 관계자는 "청와대 인사검증의 부실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을 받아오고 있다"며 "그리고 그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예를 들어 본인이 적극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은 부분, 그런 부분까지를 청와대의 검증 시스템이 알 수는 없다"며 "대통령께서도 이미 지난 4주년 취임 연설 때도 설명했지만 정부기관이 갖고 있는 정보를 개인정보 동의 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지, 그것을 벗어난 부분까지 청와대가 확인할 수 있는 그런 수준에 있지 않다"고 부연했다.

아울러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청와대가 설명이나 해명보다는, 국민께서 납득하실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셨자면 본인이 다소 해명할 점이 남아있고 억울한 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적극적으로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조치한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