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애기부처'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 보물된다

등록 2020.07.01 10:48:3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어린아이처럼 귀엽고 천진난만한 용모가 특징적인 '삼화령 애기부처'가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이 삼존상의 공식 명칭은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인데, '삼국유사'에 기록된 원소재지 '삼화령'의 근거가 될 만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불상이 발견된 계곡 명칭을 따 이름을 붙였다.

문화재청은 이를 비롯해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 복장전적' 등 총 5건에 대해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경주 남산이라는 원위치가 명확하게 확인된 점 ▲우리나라에서 가장 빠른 의좌형 미륵삼존불이자 신라인들의 신앙생활이 반영된 대표작이라는 점 ▲마치 불심과 동심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듯한 7세기 신라 전성기의 수준 높은 조각양식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이러한 사실에 비춰볼 때 이 삼존상이 한국 조각사에 중요한 학술·예술적 위상을 지닌 작품이므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평했다.
[서울=뉴시스]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왼쪽 협시보살)(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경주 남산 장창곡 석조미륵여래삼존상(왼쪽 협시보살)(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email protected] 

이 삼존상은 신라 7세기를 대표하는 조각 중 하나로, 경주 남산 계곡 중 한 지류인 장창곡의 정상부근 석실(고분 안의 돌로 된 방)에 있던 불상이다. 삼국 시대 미륵신앙과 신앙행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의좌상(의자에 앉은 자세)을 취한 본존 미륵불과 좌·우 협시보살(본존불을 좌우에서 보좌하는 보살) 입상으로 구성됐다. 장창곡 불상의 경우 우리나라 의좌상 불상 중 시기가 가장 오래된 작품이자 희소한 예에 속한다.  

본존상이 원만한 얼굴에 두 눈을 아래로 지그시 내려 사색에 잠긴 표정이라면, 두 보살상은 1m 남짓한 아담한 체구에 머리에는 보관(보석으로 꾸민 관)을 쓰고, 입가에 해맑은 미소 짓고 있다.

이렇듯 어린아이의 4등신 정도의 신체 비례를 보이는 불·보살상은 중국 6∼7세기 북주 시대부터 수대에 걸쳐 유행했고, 우리나라에서는 7세기 신라에서 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시스]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email protected]

이번 지정 예고 대상에는 해인사와 갑사 두 유서 깊은 사찰에 400년 넘게 봉안돼 왔고, 고려~조선 시대 조각사·서지학·불교사에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돼 온 불상과 복장유물, 복장전적도 포함됐다. 

조선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고려 후기부터 본격화된 아미타여래와 관음, 지장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삼존 도상을 보여준다. 조선 초 15세기 불상의 양식적인 특징을 뚜렷하게 반영하고 있어 당시 불교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사례가 되는 작품이다.

설법인(부처가 설법할 때 취하는 손 모양)의 수인(불보살을 상징하는 손 모양)을 한 아미타여래좌상과 보관을 쓴 관음보살, 민머리의 지장보살로 구성됐다. 아미타삼존 도상을 정확하게 구현한 작품은 현존하는 사례가 매우 드물다.

나풀거리듯 드리운 목깃 주름과 신체의 유기적인 흐름을 따라 사실적으로 조각된 천의(天衣) 등 뛰어난 조형미는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82호, 1458년),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국보 제221호, 1466년) 등 15세기 중·후반 왕실발원 불상들과 연관성을 보인다.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은 총 29첩으로, 본존 아미타여래좌상 복장에서 발견된 불경이다. 이 불경은 지금까지 알려진 동종 문화재 중 보존상태가 최상급이고, 불상에서 함께 발견된 자료라는 점에서 완전성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지학·불교학적 가치가 탁월하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존·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임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대방광불화엄경' 23첩과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 5첩, '제다라니' 1첩으로 구성됐는데, 판각 시기는 대부분 고려 13세기 중엽이며, 인출 시기는 조선 14세기 말~15세기 초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고려 시대 판각된 화엄경이 일괄 발견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서울=뉴시스]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제다라니경 변상도)(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제다라니경 변상도)(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email protected]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과 사보살입상'은 1617년(광해군 9년)에 행사 등 9명의 조각승이 제작한 총 7존으로 구성된 대규모 작품이다. 임진왜란 이후 조성된 7존 형식의 불상으로는 현존 최대작이자 최고작(가장 오래된 작품)으로서 진흙으로 만든 소조 불상은 평균 높이가 2.5미터이며, 보살상 역시 2미터 이상으로 제작돼 매우 장중한 인상을 준다. 

이러한 7존의 형식을 갖춘 불상으로는 갑사 외에 '하동 쌍계사 대웅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보물 제1378호, 1639년)과 1703년 '화엄사 각황전의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1703년) 등이 전해지고 있다.

'복장유물은'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사보살입상의 협시보살상에서 발견됐다. 소조관세음보살입상에서 발견된 이 복장유물은 처음 조성 당시의 현황에서 변형되지 않고 온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돼 학술·역사·예술적 가치가 있어 함께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서울=뉴시스]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좌상(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좌상(사진=문화재청 제공)2020.07.01 [email protected]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사보살입상 복장전적'은 소조관세음보살입상에서 발견된 전적류 8건 8점이다. 필사본은 1건으로 흰 종이에 먹으로 쓴 '금강반야바라밀경'이며, 그 외 7전은 모두 목판 경전류다. 간행 시기는 고려본과 조선 16세기 중반까지로 확인되며, 불상 조성시기인 1617년 이전에 인출(찍어서 간행함)된 자료들이다.

판본으로서의 중요성뿐 아니라 판각과 인출에 관련된 역사적 인물 그리고 장정(책의 겉장) 등에서 학술·서지학적 가치를 지니며, 1617년 이전 인출된 복장 경전류의 유형과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일괄 유물로서 의미가 있다.

문화재청은 보물로 지정 예고한 5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