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메타버스 산업 진흥에 올해 2233억원 투입

등록 2023.02.16 14:56: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플랫폼 개발, 인재양성, 기업, 기술개발 등 맞춤형 지원

메타버스산업 통합사업설명회 17일 누리꿈스퀘어서 개최

[서울=뉴시스] 2023년 메타버스산업 통합사업설명회 포스터.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023년 메타버스산업 통합사업설명회 포스터.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정부가 메타버스 산업 진흥을 위해 다양한 맞춤형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플랫폼 개발지원, 인재양성, 기업지원, 기술개발 등으로 총 2233억원을 지원한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민의 일상생활·경제·산업 분야에서 기존 플랫폼과 차별화된 새로운 유형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도록 총 680억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메타버스 재난안전관리 체계(충청권) 구축에는 80억원을 지원한다.

인재양성에는 167억원을 지원한다. 산업계 수요를 기반으로 한 재직자 역량강화 교육(750명, 29억원)과 메타버스 특화 서비스·콘텐츠 개발 및 사업화를 연계한 석·박사 과정생 중심의 메타버스 랩(12개소, 28억원), 청년 메타버스 개발자·창작자를 육성하는 메타버스 아카데미(300명, 75억원), 메타버스융합대학원(5개소, 35억원) 운영 등을 통해 메타버스 전문인재를 양성한다.

전문기업 지원 및 육성에도 나선다. 기업지원 통합 거점시설인 메타버스 허브 운영(판교·동북권, 80억원)과 한국가상현실(VR)·증강현실(AR)콤플렉스(상암), 지역확장현실(XR)제작거점센터(13개소), 홀로그램콘텐츠 서비스센터(익산), XR디바이스개발지원센터(구미), 한-아세안 ICT 융합빌리지(부산) 등 메타버스 특화시설(총 247억원)을 연계해 메타버스 콘텐츠 및 디바이스 개발 실증과 테스트 등을 지원한다.

이어 글로벌 시장진출 가능성이 높은 메타버스 기업에 대한 맞춤형(컨설팅, 제품·서비스 개발, 홍보·마케팅 등) 지원에 119억원을 지원해 글로벌 역량을 강화한다. 아울러 메타버스 분야 중소·벤처기업 사업영역 및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약 400억원 규모의 M&A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메타버스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에도 총 615억원이 투입된다. 디지털휴먼, 콘텐츠 제작 등 실감콘텐츠 핵심기술 개발, 홀로그램 실시간 획득·생성, 디스플레이 등 주요 기술 개발 및 관련 사업화 실증을 지원하는 홀로그램 핵심기술 개발, XR인터페이스 핵심 원천기술 개발 등에 지원한다.

이와 함께 초·중·고 실감교육 강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현장 체험교육 운영 확대와 메타버스 개발자 경진대회, K-해커톤 대회, 코리아 메타버스 페스티벌(KMF) 등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주요 행사들을 연중 개최할 계획이다. 2024 동계 청소년 올림픽과 연계한 메타버스 홍보·전시체험관 조성 등도 진행해 메타버스 체험 및 활용 기회를 확대한다.

이 밖에 메타버스산업 진흥 관련 법령 제정, 메타버스 윤리원칙 확산, 메타버스 자율규제 시범운영 등을 지원한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17일 서울 누리꿈스퀘어에서 메타버스산업 통합사업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세부 사업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기업의 목소리를 좀 더 가까이서 청취할 계획이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3에서 주목받은 메타버스 산업 현황과 동향 분석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오용수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최근 대내외 경제 여건 악화와 투자 위축으로 메타버스산업에 대한 회의론도 등장하지만 글로벌 시장은 여전히 메타버스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다"며 "CES 2023에서 확인할 수 있었듯 초기 단계에 있는 메타버스 시장에서는 우수한 기술을 가진 국내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영역과 기회도 많으므로 정부가 다양한 사업을 통해 국내기업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