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엔씨 'TL' 반전 가능할까…악평받던 '아이온'도 대박쳤다

등록 2023.07.30 09: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TL' 국내 테스트 부정적 평가…엔씨 주가 20만원대 추락

2008년 '아이온' 출시 때도 부정 평가 많았지만 대성공

엔씨 2분기 영업익 69%↓ 전망…TL 글로벌 테스트 준비

엔씨소프트는 신작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쓰론 앤 리버티'(TL)'가 5월 한국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사진=엔씨소프트) *재판매 및 DB 금지

엔씨소프트는 신작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쓰론 앤 리버티'(TL)'가 5월 한국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사진=엔씨소프트)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2008년 대한민국 게임 대상 수상, 2009년 게임스컴 '최고의 온라인게임상' 수상, 출시 후 160주 연속 국내 PC방 점유율 1위, 2013년 누적 매출 1조원 돌파.

엔씨소프트의 PC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이 국내 게임 시장의 역사를 새로 쓴 기록이다. 하지만 아이온의 출시 과정이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다.

아이온은 이용자의 의견을 확인하는 베타 테스트 과정에서 부정적인 의견이 다수 확인되며, 출시 직전까지 성공 가능성이 낮게 점쳐졌던 게임이다. 당시 엔씨 주가에도 반영돼 최저점을 찍었다. 하지만 이용자의 피드백을 적극 반영한 결과 출시 후 신기록을 경신하며, 현재까지도 국내 MMORPG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엔씨의 차세대 MMORPG '쓰론 앤 리버티(THRONE AND LIBERTY, 이하 TL)'이 아이온의 사례를 교훈 삼아 대반전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29일 엔씨에 따르면 'TL'은 지난 5월 국내에서 진행한 1만명 규모의 이용자 베타 테스트를 마치고, 올 3분기 정식 출시를 위한 최종 담금질 중이다.

엔씨소프트는 PC온라인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 클래식’이 4월 12일 유럽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사진=엔씨소프트) *재판매 및 DB 금지

엔씨소프트는 PC온라인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 클래식’이 4월 12일 유럽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사진=엔씨소프트) *재판매 및 DB 금지

'TL' 베타 테스트 부정적 평가…주가 20만원대 추락

지난번 TL 베타 테스트(CBT)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가는 박했다. 리니지 지식재산권(IP)를 넘어설 대형 신작이 절실한 상황에서 TL에 대한 박한 평가는 엔씨 주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CBT 시작 이후 이틀간 15% 이상 하락했고, 현재까지 주가는 반등하지 못한 채 20만원선에 머물러 있다. 최고가 100만원을 넘겼던 2021년 2월과 비교하면 큰 낙폭이다.

특히 하루 최대 8시간 가능한 '자동사냥' 시스템은 호불호가 갈렸다. 게임에 접속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사냥을 하며 레벨을 올리는 방식인데, 서구권 게이머들은 이 시스템을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다. "서구권 콘솔 시장을 공략하겠다"던 엔씨의 포부와 달리, 'TL'이 기존 리니지 방식에 익숙한 국내 게이머 취향에 맞춘 국내용 게임이란 오명을 얻은 이유이기도 하다.

김택진 엔씨 CCO는 'TL' 프리뷰 영상에서 "TL은 모두가 즐길 수 있는 'Play for All'을 향해 개발됐고, 이런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하고 즐길 수 있는 플랫폼이 PC와 콘솔이라 생각한다"면서 "모바일에서 느낄 수 없는 MMORPG만의 가치와 감성이 PC와 콘솔에서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 강조한 바 있다.

최근 서구권 PC·콘솔 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스마일게이트의 '로스트아크'나 블리자드의 '디아블로4'에는 자동사냥 시스템 없다. 모바일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동사냥 시스템이 PC·콘솔 게임으로 나오는 'TL'만의 차별점이 될지, 단점이 될지 지켜볼 일이다.

2008년 11월 25일 아이온이 출시된 전후 엔씨소프트 주가. *재판매 및 DB 금지

2008년 11월 25일 아이온이 출시된 전후 엔씨소프트 주가.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TL'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TL'의 몰입도 높은 그래픽과 연출, 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시즌 패스' 중심의 비즈니스모델(BM), 플랫폼과 연결 기기에 따른 사용자환경(UI) 적용, PC-모바일을 오가며 즐길 수 있는 '크로스 플레이' 등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TL' 개발진은 "테스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며, 더 나은 방향을 찾는데 소중하게 사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증권가에서는 'TL'의 출시 지연과 이용자 평가를 감안해 엔씨의 기대 주가와 예상 실적을 낮췄다.

엔씨의 2분기 실적발표는 8월 9일로 예정됐다. 교보증권은 엔씨의 지난 2분기 매출을 4502억원, 영업이익을 374억원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8.5%, 69.6% 감소한 전망치다. 목표 주가는 38만원으로 하향했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사진=엔씨소프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사진=엔씨소프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엔씨는 베타 테스트에서의 부정적인 이용자 의견을 반영해 수정 후 대규모 글로벌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글로벌 퍼블리셔인 아마존게임즈와 북미, 유럽, 일본 등 해외 지역에서 글로벌 테크니컬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교보증권의 김동우 연구원은 "2분기에 진행된 TL의 국내 베타테스트 내용에 대한 우려와 기존작들의 매출 하향으로 엔씨의 주가는 하락을 지속했다"며 "TL의 출시 후 1년간 총 매출은 2880억원으로 추정한다. 3분기 TL의 아마존 CBT에서 기존 피드백을 얼마나 반영될지, 출시 일정이 지연되지 않을지 여부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엔씨 관계자는 "테스트를 통해 이용자와 끊임없이 소통하고 개선해 최고의 게임을 완성하기 위한 'MMORPG 장인' 엔씨의 신작이 또 하나의 역사를 만들 수 있을지 주목해달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