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채권 전문가들 "당분간 기준금리 동결 전망"

등록 2021.03.28 07:10:00수정 2021.03.28 07:19:1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2021.02.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2021.02.2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높이는 등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 압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이 당분간은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경기회복, 소비심리 개선, 가계부채 급증 등으로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월 연 0.50%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해 5월 사상 최저인 연 0.50%로 인하한 후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비를 비롯한 전체 경기 회복세가 아직 뚜렷하지 않은 만큼 한국은행이 다음달 15일 열리는 금융통화정책위원회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 결정시 중요한 요소인 물가의 경우 상승 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앞서 24일 주요 현안에 대한 기자단과의 서면 문답에 "백신 접종 등에 따른 빠른 경기회복과 경제활동 정상화로 억눌렸던 수요가 분출하고 국제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예상보다 인플레이션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코로나19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급격한 인플레이션 확대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이재형 유안타증권 채권분석팀 차장은 "인플레이션은 단기적인 변수이고 실물경기 불확실성이 커 정책금리 변화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동결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의 침체돼 있는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의 물가상승도 대부분 식료품 중심이기 때문에 물가 상승을 우려해 금리를 올리기 보다는 수출 등 경기침체 상황을 더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반면 통화정책 기조의 전환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IMF와 OECD가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높이는 등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되는 조짐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IMF는 26일 한국 정부와의 연례협의 결과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이 3.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발표했다. IMF는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1월 3.1%로 상향 조정했다가 이번에 다시 0.5%포인트 높였다. 이에 앞서 지난 9일 OECD도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직전보다 0.5%포인트 상향조정했다. 한국은행 역시 5월 금통위에서 성장률 전망을 올려 잡을 가능성이 높다. 이 총재는 24일 "국내외 여건 변화를 종합해 보면 향후 성장경로에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지만 올해 국내 성장률은 종전 전망치(3%)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소비심리도 훈풍이 불고 있다. 한은이 26일 발표한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달보다 3.1포인트 오른 100.5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지난해 1월(104.8) 후 처음으로 100을 넘어섰다. 이 지수가 100보다 높다는 것은 소비자가 경기를 장기평균(2003~2019년)보다 낙관적으로 본다는 뜻이다.

[서울=뉴시스]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0% 수준에서 동결했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서울=뉴시스]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0% 수준에서 동결했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email protected]

최근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는 점도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해 말 국내 가계부채와 기업부채는 3879조6000억원으로 전년대비 9.1%나 증가했다. 명목GDP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15.5%로 전년말(197.1%)보다 18.4%포인트 상승했다. 1975년 통계편제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이다.
 
박성욱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IMF가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등 우리 경제가 낙관적으로 가고 있지만 현재의 확장적 재정 정책과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며 "수출과 투자도 개선되고 있지만 내수나 고용이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고 있고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도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현재 금리 수준은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그러나 "현재로서는 코로나19로 경제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액션을 취하기 힘들지만 올 하반기 경제상황이 개선되고 백신 효과가 명확해져 불확실성이 줄어들면 금리를 낮은 상태로 놔 두는 것보다 상향 조정 하는 등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바꿀 수 있는 여지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국은행은 경기 개선에 따라 기준금리 조기 인상 가능성에 대해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아직은 실물경제 활동이 잠재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항인 만큼 우리 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궤도로 복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현재로선 정책기조를 서둘러 조정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가 상승 우려에 대해서도 "지금은 인플레이션 리스크 확대를 우려해 통화정책으로 대응할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기준금리를 서둘러 인상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