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1300억 사이버 보안펀드 조성…"2027년 K-보안산업 세계 5위권 진입"

등록 2023.09.05 14:00:00수정 2023.09.05 15:00: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과기정통부,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 발표

사이버보안 대응 수요 증가에 미래 전략사업으로 육성

외산기술 집약 솔루션 국산 개발·대체…1300억 펀드 조성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전략 요약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전략 요약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정부가 2027년까지 정보보호산업 시장 규모 30조원 달성, 세계 시장 5위권 진입을 목표로 관련 예산에 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국산 보안기술로 대체한 한국형 무인점포 구축, 국산 폐쇄회로(CC)TV 반도체 칩 보급 확대, 생체인식 성능 평가 분야 확대 등을 추진한다.

경기 판교, 동남권, 서울 송파 등에 분산됐던 보안 관련 시설을 유기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를 조성해 인재·기업 양성을 효율적으로 주도한다. 아울러 1300억원 규모의 사이버 보안 펀드도 조성해 민간 보안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 활성화도 이끌어 보안 유니콘 기업을 늘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가 이 전략을 발표한 이유는 사이버 보안시장을 선점하려는 기업들의 가속화된 경쟁에 있다.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사이버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삼일회계법인(PwC)에 따르면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피해는 2015년 3조  달러에서 지난해 6조 달러로 2배 이상 늘었다.

아울러 보안 영역 확장으로 각국 보안규제도 강화되면서 보안 솔루션 수요가 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은 세계 정보보호 시장 규모가 올해 3019억 달러로 2026년까지 연평균 8.5%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주요국은 자국 정보보호산업 수준이 안보와 직결된다는 인식에 산업 육성에 몰두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내세우기도 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정보보호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우리 힘으로 사이버 안보를 실현하고 고성장 중인 글로벌 보안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이번 전략을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외산기술 집약체였던 무인점포, K-보안기술로 대체한다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생체인식 분야 및 성능평가 확대 방안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생체인식 분야 및 성능평가 확대 방안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는 우선 내년에 통신·금융·의료 등을 중심으로 기존 경계모델을 제로트러스트 보안 모델로 적용·확산하는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제로트러스트란 정보시스템 등 접속 요구 시 네트워크가 이미 침해된 것으로 간주해 절대 믿지 않고 계속 검증하라는 새로운 보안 개념을 말한다.

소프트웨어 자재 명세서(SBOM) 기반 소프트웨어(SW) 공급망 보안 기술지원 체계도 구축한다. SBOM이란 SW 개발 전 과정의 구성내역 상세명세서로 취약점 발견과 SW 보안성 확보에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SW) 공급망 공격에 대응하고 해외 무역장벽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보안·의료SW 등 파급력이 높은 분야 대상으로 보안 취약점 점검과 컨설팅, 보안패치 등 공급망 전반의 보안 관리를 지원한다. 이 지원은 2025년부터 2027년까지 연간 기업 25곳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물리보안 분야를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산 신기술 적용·확산 지원도 진행한다. 정부 연구개발(R&D)로 국산화한 CCTV 반도체 칩 보급을 기존 기업 10곳에서 40곳으로 늘리고 2세대 국산 지능형 반도체 칩도 조속히 양산해 국산 물리보안 제품 세계 시장 점유율을 3%(지난해 기준)에서 2027년 1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특히 지문·안면 중심 생체인식 성능평가 분야를 정맥과 홍채 등으로 확대하고 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60만건 이상 구축해 생체인식 물리보안 시장 확대를 도울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무인 편의점 등 현재 국내 무인점포들은 자동 인증·결제, 성인인증 기술 등은 외산 기술로 써왔다. 정부는 이들 기술을 국산 기술로 대체하는 한국형 무인점포를 구현해 2025년까지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개발된 우수 무인기술·제품을 소상공인 무인점포에 지원해 범죄 등 사회문제 해결과 무인보안 시장 확대를 도모할 방침이다.

스마트선박, 로봇, 우주,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융합보안 시장 개척 작업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신산업별 보안요구사항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유관 부처·기관을 융합보안 협력체계로 구축한다. 아울러 융합보안 내재화를 위해 기존 보안리빙랩 5개소를 내년에 핵심 분야(헬스케어, 자율차, 스마트공장 등) 특화시설로 개편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보안인증 내재화 프로세스를 마련한다.

동남아 보안시장 진출 활성화 위해 베트남 정보보호 전략거점 신설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추진체계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추진체계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는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구성 등 기업 간 협력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통합보안 모델 구현을 추진한다.

수요기업·기관과 보안 기업 등 공급기업이 하나로 뭉친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는 공동·협업형 통합보안 사업화 모델과 표준화, 상호운용성 확보 등을 주도한다. 여기서 정부는 기업 애로 해소와 판로·투자·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국제협력 기반 신흥 보안시장 진출 관련 사업도 확대 추진한다. 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 공략을 위해 중동 거점을 지난 7월 오만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재편했으며 오는 12월 베트남 거점(하노이) 신설도 추진한다.

또한 중동·동남아 기금·공공조달 사업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민·관 협력형 '시큐리티 팀 코리아'를 구성·지원해 대형 해외사업 수주 지원, 수주 후 국내 사업자 참여를 통한 기업의 간접 수출 효과를 제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외 거점과 연계해 양질의 현지 인력을 확보하고 제품 개발부터 현지화까지 연결하는 'K-시큐리티 랩'도 구축한다.

1300억원 규모 사이버보안 펀드 조성…스타트업, M&A 지원에 절반 이상 쓴다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 조성안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 조성안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는 세계 시장 공략을 위한 국내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우선 보안 스타트업 육성(경기 성남시 판교), 지역 보안산업 강화(부·울·경), 글로벌 시큐리티 클러스터(서울 송파)로 구성된 'K-시큐리티 클러스터 벨트'를 조성해 우리 기업 해외 진출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2027년까지 총 1300억원 규모의 사이버보안 펀드도 조성해 기업의 안정적 기술 개발과 민간 투자 활성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펀드 결성액 중 50% 이상은 제로트러스트와 AI 등 유망 분야 스타트업 지원, 기업 간 인수합병(M&A)을 통한 스케일업 지원에 쓰이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보보호 전문 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하고자 정보·물리보안 분야 현장 연계 강화, 대학·군·공공부문 보안 인력 전문성 강화, 사이버훈련장 확대 등도 추진한다.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R&D 추진(안)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제30차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R&D 추진(안)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R&D 추진 방향에는 미래 대응에 필요한 사이버보안 중점기술 확보를 목표로 크게 ▲미래도전 ▲기술산업선도 ▲안보 투자로 구분했다.

미래도전 분야는 현재 국내 기술 수준이 낮으나 세계 시장 효과를 고려해 미래 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하는 분야(AI·클라우드 보안 등), 기술산업선도는 현재 기술력이 높아 수출경쟁력 등 확보가 필요한 분야(양자내성암호 등), 안보 투자는 국가안보·국민안전 차원에서 투자가 필요한 분야(공격억지 등)로 설정했다.

이밖에 미국·독일·핀란드 등 사이버보안 분야 선도국과 동남아·중동 등 주요 신흥국 지원 연구도 추진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글로벌 보안시장은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선점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통합보안이라는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기업 간 협업과 공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등 격변의 시기"라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변화를 발 빠르게 준비하고 신흥시장을 공략할 탄탄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일은 단 하루도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며 "이번 전략으로 우리 정보보호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 주도권을 확장함으로써 우리의 힘으로 사이버 안보를 튼튼히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