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고단한 제주청년에게 ‘희망 사다리’ 구축한다[제주형 청년보장제①]

등록 2024.04.16 07:00:00수정 2024.04.16 07:2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주 일자리 부족, 수도권으로 떠나는 청년들

직장인 급여 수준은 최하위, 부동산은 오름세

'허브' 제주청년센터 통해 청년이어드림 지원

[제주=뉴시스] 제주청년센터 전경. (사진=제주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제주청년센터 전경. (사진=제주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양영전 기자 = 일자리를 찾아 제주를 떠나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지역 성장을 위해 청년들의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정책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제주도는 생애주기별로 청년에 대한 맞춤 지원에 나서는 '제주형 청년보장제'를 역점 추진하고 있다.

16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 청년 인구 수는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제주 청년 인구는 2021년 16만8000명, 2022년 16만4000명, 2023년 15만9000명으로 감소폭도 가팔라지는 모양새다.

제주 청년 인구는 도내 전체 인구(67만3000명)의 24% 안팎을 차지하고 있는데, 2050년에는 10만6000명(15%) 수준으로 줄 것이라는 다소 암울한 조사 결과도 나왔다.

급여 전국 최하위·부동산 상승…청년 부담 심화

'2022 제주 청년 통계'에 따르면 청년들이 제주를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일자리'였다. 이 때문에 제주 청년들은 기업과 공공기관이 소재한 서울(31.5%), 경기(25.4%) 등 수도권으로 몰렸다.

전문가들은 제주 청년 인구 감소 원인으로 양질의 일자리 부족과 함께 낮은 급여, 부동산 상승 등도 꼽는다. 박동준 한국은행 경제조사 팀장은 지난해 '제주경제의 현주소와 도약을 위한 과제' 세미나에서 "최근 지역 경기 둔화와 부동산 상승 등 정주 여건 악화로 제주지역 청년층 인구의 순유입 둔화가 뚜렷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올해 1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시도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원천징수 의무자 소재 기준)에 따르면 제주는 1인당 급여가 평균 3570만원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아 3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2023년 기준 제주지역 민간아파트 분양가는 3.3㎡당 2574만원으로 서울을 제외한 지방에서 가장 높아 청년들의 내 집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높은 정주비용이 청년층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요구되면서 민선 8기 제주도정도 이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쏟기로 했다.

청년정책 정보 일원화…맞춤형 정책 연계 나선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17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4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가 취업준비생들로 붐비고 있다. 2024.01.17.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17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4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가 취업준비생들로 붐비고 있다. 2024.01.17. [email protected]

오영훈 제주지사의 핵심 공약이기도 한 '제주형 청년보장제' 도입이 방안으로 제시됐다. 청년의 사회진입(고용), 학업, 주거, 사회활동 등 생애주기별로 촘촘하게 지원해 구축한 '희망 사다리'로 청년들의 자립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청년정책 허브 역할을 하는 제주청년센터(센터)가 흩어져 있는 청년정책 정보를 일원화해 지원한다. 센터는 청년의 자립역량을 키우고 소통과 교류, 협업,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하는 복합공간이다.

'제주도 청년기본조례'를 근거로 제주시 중앙로에 들어선 센터는 청년 활동, 청년 역량 강화, 청년 생활 등 각종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10개 사업에 17억5000만원이 투입됐고, 복합활동공간인 청년다락 4개소 등에 4만2000명이 방문하기도 했다.

도는 센터를 '청년이어드림' 핵심지원기관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청년이어드림은 청년 맞춤형 정책 전달체계다. 맞춤형 정책 연결을 통해 모든 청년에게 정책 정보 및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됐다.

올해 제주도 36개 부서에서 97개 사업의 청년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부서·기관별로 정보 전달이 파편적으로 이뤄지면서 청년들이 정책이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청년정책에 대한 인지도도 30~40% 내외로 머물면서 청년이어드림을 통해 정책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먼저 청년이어드림지원금을 통해 청년들을 오프라인 정책 체계 안으로 유인하고, 산재된 정책 정보를 통합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 제공 역할을 할 청년이어드림플랫폼도 구축한다. 이후 센터에 소속된 맞춤형 코디네이터가 상담을 통해 청년의 상황에 맞는 정책을 심층 연계할 예정이다.

일련의 과정을 거친 뒤 피드백 과정도 진행한다. 정책 만족도, 개선 사항 등 의견을 바탕으로 청년정책의 빈 공간을 채워나갈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청년이어드림은 민선 8기 제주청년보장제 전반을 아우르는 핵심 과제"라며 "청년이어드림을 통해 도내 청년이 소외되지 않고 청년들의 다양한 욕구를 스스로 보장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