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터넷 우체국 알뜰폰 개통, 이달 말 재개할 듯

등록 2024.05.05 14: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난달 초 보인확인 시스템 재정비 이유로 운영 중단

현장선 신분증 스캐너 도입…기존 대비 개통 가능 창구 줄어

예산 확보 및 접근 편의성, 직원 업무환경 종합 고려해 점진 확대

[서울=뉴시스] 우체국이 지난달 중단했던 인터넷우체국 알뜰폰 개통을 5월 말부터 재개한다. (사진=인터넷우체국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우체국이 지난달 중단했던 인터넷우체국 알뜰폰 개통을 5월 말부터 재개한다. (사진=인터넷우체국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심지혜 윤정민 기자 = 지난달부터 잠정 중단됐던 우체국 알뜰폰 온라인 개통이 이달 말 재개된다. 보안 사각지대로 지목됐던 본인확인 시스템을 재정비했기 때문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는 이달 말 인터넷우체국에서의 알뜰폰 개통을 다시 시작한다.

우체국은 최근 알뜰폰 대포폰 개통 방지를 위한 시스템 재정비를 위해 지난달 1일부터 인터넷 개통을 중단했다. 보안시스템 취약점을 악용한 범죄 피해가 발생하면서 대응 조치에 나선 것이다.

실제 알뜰폰 본인인증시스템을 우회해 대포폰을 개통하고 금융 인증서를 발급 받아 금융 자산을 빼돌리는 등 보안시스템 취약점을 악용한 사고가 발생했다.

우체국 알뜰폰은 인터넷 개통뿐 아니라 현장 개통에서도 본인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점 매장의 신분증 스캐너 도입 의무화 정책에 맞춰 우체국 창구에서도 신분증 스캐너를 도입했다.

다만 예산상 문제로 종전 1300여개 매장 모두에 도입하지 못하고 270여 곳에 우선 적용했다. 현장 개통 창구가 크게 줄어든 것이다.

우체국은 판매량과 고객 접근 편의성 등 공공성, 직원 업무환경 등을 종합적을 고려해 향후 운영 방향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알뜰폰 개통을 담당하는 일부 우체국 공무원이 업무 부담 과부하를 호소하고 있어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우체국은 2013년도부터 중소 알뜰폰 업체의 판매 지원을 위해 우체국 창구에서 알뜰폰 개통을 대행해 왔다. 요금제 설명과 함께 소비자가 원하는 요금제에 대한 신청서를 접수 받고, 이를 해당 업체에 넘겨주는 것까지가 우체국 알뜰폰의 업무였다.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체국 알뜰폰 판매건수는 8만1000건으로 창구에서 5만6000건, 인터넷에서 2만5000건이 이뤄졌다.

그러다 지난달 1일부터 신분증 스캐너 도입이 의무화 되면서 신청서를 접수 받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실제 개통까지 우체국에서 진행됐다. 그동안에는 개통 절차와 관련한 민원을 알뜰폰 업체가 담당했다면 신분증 스캐너 도입으로 우체국에서 개통까지 진행하게 됐고, 관련 민원도 우체국 공무원이 맡게 됐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공무원노동조합은 성명서를 내고 "신분증 및 가입서류 스캔을 비롯해 유심칩 교부뿐 아니라 당일 개통까지 맡아야 한다"며 "기존에는 해피콜을 통한 고객 본인 확인으로 한정됐던 알뜰폰 업무가 가입부터 개통까지로 모든 일을 우체국에서 수행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업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책임과 민원이 우체국으로 귀속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렇다고 우정사업본부 입장에서는 당장 우체국 알뜰폰 사업을 중단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저렴한 통신서비스 제공뿐 아니라 우편창구 접수물량이 급감하는 상황 속 우편 사업 수지 개선에 기여하고 있어서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어르신 등 통신 취약계층을 위한 오프라인 판매망을 제공하는 역할을 계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우체국 알뜰폰은 고령층 가입자(50대 이상)가 59% 수준일 정도로 저렴한 통신서비스의 대국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우편물량 감소에 따른 적자가 누적되는 가운데 우편수지 개선을 위해서라도 사업 유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체국 현장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