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남교총 "경남 교원 절반이상 '스승의날' 기념 방식 개선 필요"

등록 2024.05.13 19:36: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스승의날' 폐지 34%, 현재 방식 만족 14%에 불과

[창원=뉴시스]경남교원단체총연합회가 13일 경남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스승의 날 온라인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05.13.(사진=경남교총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경남교원단체총연합회가 13일 경남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스승의 날 온라인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05.13.(사진=경남교총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 김기진 기자 = 경남 교원 절반 이상이 '스승의 날'을 기념하는 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남교원단체총연합회(경남교총)는 13일 경남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스승의 날 온라인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제43회 스승의 날(5월 15일) 한 주 전인 지난 7~10일 도내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 277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스승의 날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1434명(52%)으로 집계됐다.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936명(34%), ‘현재 방식에 만족한다’고 답한 이는 393명(14%)을 기록했다.

개선 또는 폐지를 꼽은 이유로는 형식적인 행사 개최와 교권 추락, 스승과 교권을 존중하지 않는 문화가 가장 많이 거론됐다.

1369명(35%)은 ‘형식적인 기념에 그치고 있어 의미가 퇴색됐다’고 답변했다.

1355명(34%)은 ‘실추된 교권 존중과 회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755명(19%)은 ‘학생들의 작은 성의도 거절해야 하는 상황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청렴을 비롯한 공직기강 확립이 더욱 강조돼 불편하다’는 응답자는 426명(11%)으로 나타났다.

 26명(1%)은 기타 의견으로 분류됐는데 ‘몇십 년 전 촌지를 들먹이며 스승의 날에 뭐 하나라도 받지 않는지 지켜보는 사람들과 성의를 무시당한다며 서운해하는 사람 사이에서 불편함만 늘어나는 날이다’, ‘학교와 교사 정체성이 변질됐다’, ‘교사를 향한 부정적인 시선만 가중된다’ 등이 제시됐다.

바람직한 스승의 날 운영 방안을 묻는 문항에는 1779명(64%)이 ‘교권 존중의 날로 교육의 의미를 되새기며 교권이 존중받는 문화조성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다.

 ‘학생·학부모·교원이 다 함께 스승의 날 의미를 되새기는 교육 가족 화합의 날로 운영한다’는 응답자는 467명(17%), 교육 가족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스승의 날을 공휴일 또는 재량휴업일로 지정하거나, 아예 아무것도 하지 말고 넘어가야 한다는 등 기타 의견을 제시한 이는 299명(11%)이었다.

반면 ‘기존대로 운영한다’고 답한 이는 234명(8%)에 그쳤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교원들을 상대로 교직 생활 만족도를 묻는 문항도 있었다.

‘현재 교직에 만족하고 행복하냐’는 물음에 매우 그렇다고 답한 이는 349명(13%), 그렇다고 밝힌 응답자는 950명(34%)이다.

같은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교원은 217명(8%), ‘그렇지 않다’는 사람은 428명(15%)으로 전체 645명(23%)을 차지했다. 835명(30%)은 ‘보통’이라고 답했다.

교직 생활이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에서 가장 많이 차지하는 답변으로 ‘행정업무와 교육활동 법적 책임 과중’(1062명·27%)이 차지했다.

 이어 ‘수업 방해와 문제 학생 지도 등 학생 생활지도 어려움’(943명·24%), ‘학부모 민원·관계 유지’(916명·23%), ‘교육계 매도·불신 여론’(417명·10%), ‘잦은 정책 변경’(361명·9%), ‘학교 구성원 간 갈등과 분쟁’(216명·5%), 기타(61명·2%) 순으로 나타났다.

김광섭(창원사파초교장) 경남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은 “교권 존중 의미를 되돌아보는 시간으로 스승의 날을 돌이켜 볼 수 있어야 한다”며 “스승의 날은 형식적인 기념일이 아니라 선생님들에게는 가르치는 기쁨을, 학생들에게는 배우는 행복을 돌려줄 수 있는 날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