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동해 가스전 신빙성 더할까…심해평가 전문가 액트지오 대표 입 연다

등록 2024.06.07 05:30:00수정 2024.06.07 05:35: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아브레우, 세종청사서 기자간담회 열어 질의응답

정부 발표 이후 제기된 각종 의혹에 직접 답변 기대

[인천공항=뉴시스] 김선웅 기자 = 포항 앞바다에 대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심해 기술평가 기업 액트지오의 대표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가 5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해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아브레우 박사는 방한 기간 중 석유공사에 자문을 제공하고 별도 기자회견을 통해 광구평가 관련 사항을 설명할 예정이다. 2024.06.05. mangusta@newsis.com

[인천공항=뉴시스] 김선웅 기자 = 포항 앞바다에 대규모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 미국 심해 기술평가 기업 액트지오의 대표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가 5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해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아브레우 박사는 방한 기간 중 석유공사에 자문을 제공하고 별도 기자회견을 통해 광구평가 관련 사항을 설명할 예정이다. 2024.06.05.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동해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한 심해탐사 전문기업 '액트지오(Act-Geo)'의 대표인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가 분석 결과를 직접 설명한다.

정부의 동해 석유·가스전 발표 이후 제기된 각종 의혹이 아브레우 박사가 제시하는 과학적 설명을 통해 해소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아브레우 박사는 이날 오전 10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는 아브레우 박사를 비롯해 석유공사, 지질자원연구원의 관계자들도 배석한다.

이들은 동해 석유·가스의 부존 가능성을 포함해 액트지오의 기술력·신뢰성 등에 대한 의문점을 풀어나갈 계획이다.

앞서 아브레우 박사는 석유공사의 자문요청에 따라 지난 5일 직접 한국을 찾았다.

아브레우 박사는 당시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부 기자회견 이후 한국 국민과 커뮤니티에서 많은 의문점이 쏟아졌다"며 "한국에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인 만큼 명확한 답을 주기 위해 입국했다"고 방한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석유공사로부터 포항 영일만 일대의 가능성을 평가해 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며 "이미 성숙한 유전이었지만 깊이 연구된 적이 없었다. 새로운 데이터가 더 많다는 것을 보았다. 추후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부연했다.

그는 국민들의 관심사가 높은 경제적 가치와 관련해선 "석유공사와 비밀유지 계약을 맺었다"며 말을 아꼈다.

아브레우 박사가 직접 설명에 나선 이유에는 동해 석유·가스전을 둘러싼 신뢰성 의혹이 일파만파 번지고 있어서다.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첫 국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24.06.03.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첫 국정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24.06.03. [email protected]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국정브리핑을 통해 경북 포항시 영일만 일대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을 발표했다.

이어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사후브리핑을 통해 "금세기 최고 규모라고 하는 (남미) 가이아나 광구에서 나온 규모가 110억 배럴"이라고 언급하며 "실제 140억 배럴 규모의 석유와 가스가 나온다면 이 가치는 삼성전자 시가 총액의 5배 정도"라고 강조했다.

당시 삼성전자 시가총액이 452조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동해 석유·가스전 가치는 2260조원으로 추산된다.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 국부펀드(NBIM)의 규모가 1조6000억 달러(2180조원)인데, 이를 단숨에 뛰어넘는 규모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석유 수익을 재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문제는 모든 것이 '장밋빛 가능성'이라는 점이다. 정부는 140억 배럴의 유량에 대한 근거로 미국 심해평가 전문기관인 액트지오의 분석을 제시했다.

[서울=뉴시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첫 국정브리핑을 이어받아 브리핑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첫 국정브리핑을 이어받아 브리핑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0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다만 액트지오의 본사가 미국 텍사스 휴스턴의 한 가정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며 신뢰성 논란이 불거졌다. 링크드인에 따르면 액트지오는 2017년 설립됐으며 개인이 운영하는 회사로 직원은 2~10명 정도다.

이에 대해 석유공사는 "액트지오는 2016년 설립 이래 가이아나, 볼리비아, 브라질, 미얀마, 카자흐스탄 등 다수의 주요 프로젝트 평가를 수행했다"며 "직원들은 엑슨모빌, 쉘, BP 등 메이저 석유개발기업 출신으로 심해탐사 분야에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경력의 전문가들이 아브레우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단위로 협업하는 구조"라며 직원 상주 여부에 관해 해명했다.

아울러 아브레우 박사 개인에 대한 전문성 의혹에 대해서 산업부도 직접 입을 열었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최근 라디오 방송에서 "(액트지오는) 지질탐사 전문 부티크"라며 "전체적인 규모는 굉장히 작지만 심해에 관련된 지질 자료 분석에 있어서는 전문가 보유 숫자가 제일 많다"고 말했다.

이어 "회사를 창립한 빅토르 아브레우라는 분은 엑슨모빌에서 관련된 그룹장도 했고 미국 퇴적학회장도 해서 자료에 대한 신뢰도는 높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세종=뉴시스]출처=석유공사

[세종=뉴시스]출처=석유공사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