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실태조사]노인 5명중 1명 80세이상…30%가 아직 일해
만성질환자 51% 3개 질환 보유…13.2% '자살시도 경험'
자녀와 동거 15.2%만이 긍정적…치매수진율 절반도 안돼
독거노인 작년 23.6%…주1회이상 자녀 왕래 비율 38% 그쳐
일하는노인 10명중 4명 단순노무직…73% 생계비 마련이유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65세 이상 노인중 80세이상 노인 비중이 21%를 넘어서면서 지난해 노인 평균연령이 74세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사는 노인수는 앞으로 더 증가할 전망이다.
10년 사이 앓고 있는 만성질환이 1개 가까이 늘었으며 같은기간 전체 소득에서 기초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4~11월 8개월간 전국 1만299명 노인을 대상으로 가구형태 및 가족관계, 소득·건강·기능상태, 생활환경 및 가치관 등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를 24일 발표했다.
◇노인 평균나이 74세 돌파…만성질환수 늘어
연령구성을 보면 65세이상 노인중 80세 이상 노인 비중이 지난해 21.7%를 차지했다. 2008년 16.0%에서 2011년 17.3%, 2014년 20.6%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전체 노인 평균연령도 지난해 74.1세로 10년전인 2008년(72.9세)보다 1.2세 높아졌다.
학력수준은 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비율은 2008년 15.3%에서 지난해 6.6%로 급감했으며 중학교 이상자 비율은 29.0%에서 절반에 가까운 41.7%로 증가했다.
혼자사는 비율도 2008년 19.7%에서 2014년 23.0%, 지난해 23.6% 등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자녀와 동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32.5%에서 지난해 15.2%로 반토막이 났다. 자녀와 함께 사는 일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 독거노인 증가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복지부는 내다봤다.
혼자 사는 노인 가구중 '생활상 어려움이 없다'는 응답자가 2008년 12.7%보에서 지난해 44.5%로 크게 늘었는데, 85세 이상 노인과 저소득 노인의 경우 10명중 8명 정도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어려움을 느끼는 순간은 '아플 때 간호'(19.0%), '경제적 불안감'(173%), '심리적 불안감 및 외로움'(10.3%) 순이었다.
2008년보다 사회적 관계망이 약해졌다. 가까운 친인척이 있다는 비율은 56.2%에서 46.2%, 친한 친구·이웃이 있다는 비율은 72.6%에서 57.1%, 주 1회 이상 자녀와 왕래 비율은 44.0%에서 38.0%로 모두 하락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단독가구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고령노인에 대해 돌봄을, 단독생활을 선호하는 고소득·초기노인은 일자리 등 돌봄외 복지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며 "약화된 사회적 관계망 보완을 위해 노인복지 인프라 재평가를 통한 돌봄 확대, 노인돌봄서비스 확대 등 보호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만성질환은 노인의 89.5%가 앓고 있었다. 3개 이상 만성질환 보유자 비율이 30.7%에서 절반이 넘는 51.0%로 급증하면서 평균 만성질환수도 2008년 1.9개에서 지난해 2.7개로 증가했다.
건강검진 수진율이 82.9%인데 비해 치매검진 수진율은 절반에도 못미치는 39.6%였다.
21.1%는 우울증상이 있었으며 6.7%가 자살을 생객하본 적 있다고 답했다. 실제 자살을 시도한 응답자는 10명 중 1명 이상인 13.2%였다. 응답자의 14.5%가 인지기능 저하자로 나타났고 고연령, 무배우자, 읍면지역에서 인지기능 저하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복지부는 만성질환 증가에 따른 건강 관리 강화와 고연령자·저소득자 대상 우울·치매 등 집중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치매국가책임제 실시, 장기요양 수급자 확대(지난해 58만명→2022년 86만명) 및 보장성 강화,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 발표, 포괄적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체계 구축 등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노인의 79%는 현재 주거지에 불만을 나타냈다. 불편 사유는 주방, 화장실, 욕실 사용 순이었다. 가정 내 노인편의설비를 갖춘 경우는 6.1%에 불과하고 노인복지관과 거리도 30분 이상 떨어져 있다는 응답률도 55.9%나 됐다.
그럼에도 88.6%는 건강할 때 현재 집에서 살기를 원했고 57.6%는 거동이 불편해져도 재가서비스를 받으며 현재 집에서 머물기를 희망했다. 돌봄, 식사, 생활서비스가 제공되는 노인요양시설 거주를 희망한 비율은 31.9%였다.
◇일하는 노인 10명중 3명…급여 낮은 단순노무직 증가
노인의 개인소득원을 분석해보니 공적연금, 기초연금, 기초생활보장급여, 기타 공적급여 등이 성숙하면서 공적이전소득이 10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2008년 28.2%에서 지난해 36.9%까지 늘었다. 대신 같은 기간 사적이전소득은 46.5%에서 22.0%로 줄었다.
노인은 소비 관련 항목 중 주거관련 비용(30.4%)을 가장 부담스러워했다. 다음으로 보건 의료비(23.1%), 식비(18.7%), 경조사비(4.4%) 순이었다.
노인 10명 중 3명(30.9%)가 경제활동에 참여했다. 산업구조 변화로 농림어업 종사자 비중은 2008년 60.5%에서 지난해 32.9%까지 감소했으나 급여 등이 높지 않은 단순 노무직이 24.4%에서 40.1%로 급증해 정책적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의 9.4%는 현재 일하고 있지 않았다. 다만 초기 노인일수록(65~74세 12.4%, 75세 이상 5.2%), 고학력일수록(무학 6.0%, 초졸 8.4%, 전문대 이상 11.5%) 향후 일하고 싶다는 의사를 피력했다.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73.0%가 생계비 마련을 꼽았으나 그 비율은 2008년 85.9%에서 점차 줄어드는 모양새다. 대신 용돈 마련을 위한 경제활동 참여가 3.7%에서 11.5%로 늘었다. 비경제적 사유로 일하는 비율은 고졸 이상(6.0%)이 무학(2.1%)보다, 소득이 상대적으로 많은 소득5분위(4.2%)가 소득1분위(1.9%)보다 높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노인의 부동산, 자산이 증가하고, 생계를 위해 일하는 노인이 감소했는데, 일부는 공적 소득보충 확대의 효과"라고 해석했다. 다만 "전 노인 계층에서 근로의 절대적인 사유는 아직까지 생계비 마련인 점 등을 감안해 공적소득 및 일자리 지원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기초연금을 지난해 20만6000원에서 올해 9월 25만원, 2021년 30만원 등으로 인상하고 주거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10월), 노인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부양의무 적용 완화(지난해 11월부터 단계적 적용), 노인일자리 수당 인상 및 양질 일자리 확대(지난해 46만7000개→올해 51만개)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이번 노인실태조사를 통해 어르신의 복지 수요와 가치관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보고해,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재구조화에 활용하는 한편, 전문가 자문·관계부처 협의 등을 통해 주거·고용·돌봄·안전 등 분야별 정책과제를 발굴해나가겠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