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북미 협상 결렬에 여야 "접점 못 찾아 유감" 한목소리

등록 2019.10.06 12:11:4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민주당 "조기에 추가회담 열어 입장차 해소하길"

한국당 "문재인 정부 안보대전환이 시급한 상황"

다른 야당들도 "실질적인 진전과 협상 필요해"

북한 외무성 김명길 순회대사와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5일 오전 10시(현지시간)께 스웨덴 스톡홀름 외곽 리딩고 섬에 있는 컨퍼런스 시설인 빌레 엘비크 스트란드(Villa Elfvik Strand)에서 비핵화 실무협상에 돌입했다. (사진출처: NHK 화면 캡처)

북한 외무성 김명길 순회대사와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5일 오전 10시(현지시간)께 스웨덴 스톡홀름 외곽 리딩고 섬에 있는 컨퍼런스 시설인 빌레 엘비크 스트란드(Villa Elfvik Strand)에서 비핵화 실무협상에 돌입했다. (사진출처: NHK 화면 캡처)

【서울=뉴시스】김지은 기자 = 스웨덴에서 열린 북미 비핵화 실무협의가 결렬된 데 대해 6일 국회도 여야를 막론하고 한목소리로 안타깝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다만 향후 상황을 희망적으로 보느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더불어민주당의 이해식 대변인은 이날  현안 브리핑을 통해 "어제 북미간 실무협상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 안타깝고 아쉽다"며 "하지만 단 한 번의 협상으로 곧장 제3차 북미정상회담으로 직행할 것이라 아무도 예상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미 양측은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달라진 여건 하에서 상대방의 의지와 요구 조건을 분명히 확인하는 기회를 가졌을 것으로 본다"며 "이를 바탕으로 조기에 추가 회담을 열어 상호간 입장차이를 해소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이러한 면에서 북한은 실무협상을 연말까지 미루지 말고 미국과 함께 스웨덴 외교부의 초청에 응해 2주 내 추가협상을 이어감으로써 '새로운 셈법'과 '창의적인 아이디어' 간의 간극을 메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정부가 그간의 외교 행보에 대해 반성하며 되돌아봐야 할 때라고 경고했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지난 '하노이 노딜'에 이어 '스톡홀름 노딜'이다. 이번 노딜의 시사점은 분명하다. 대화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화의 목적과 결과라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는 냉철하게 지난 3년간 대북정책을 놓고 스스로를 돌아보기 바란다. 실패를 인정하는 것부터가 시작이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목전에 두고 현실부정, 정신승리가 아닌 실력과 성과를 보여야 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핵 폐기 이행 없이는 노딜이 명답이다. 우리에게 가장 불행한 것은 북한의 완전한 핵 폐기를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섣부른 합의에 이르는 일"이라며 "북핵의 위협에서 대한민국 안보를 지키기 위한 문재인 정부의 안보 대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다른 야당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며 조속하게 재협상에 들어갈 것을 촉구했다.

바른미래당의 최도자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실낱같은 희망을 품었던 북미 실무협상의 결렬에 유감을 표명한다. 성급한 결정이 아닌지 아쉽다"며 "북미는 협상의 끈을 놓지 말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민주평화당 또한 박주현 수석대변인 논평에서 "북미가 어렵게 테이블 앞에 다시 앉게 된 만큼 서로 양보하고 절충하며 어느 정도 접점을 찾았어야만 했다"고 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그나마 북한이 연말까지 미국에 새로운 조치를 내놓을 것을 요구했고, 미국도 대화를 계속 이어가겠다는 뜻을 보였기 때문에 아직 희망은 남아 있다"며 "이른 시일 내에 실무협상을 재개해 양측이 한발씩 양보함으로써 실질적인 진전을 이뤄 연내 제3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로 이어져야만 한다"고 했다.

정의당의 유상진 대변인은 "협상이 한걸음 더 나아가지 못하고 팽팽한 서로의 입장만 확인된 채 중단되어 실망이 크다"며 "북미 양측의 조속한 협상 재개를 촉구한다. 정부도 차기 협상에서 양측의 진전된 안이 나올 수 있도록 중재자로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