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영화 '김복동' 배급사 "정의연 모금, 우리가 관여할 부분 아냐"

등록 2020.05.25 10:46:3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300만원 모금 의혹 관련..."해외상영료 모금 알고 있었다"

정상진 대표 "8월 정산 절차 남아 있지만 별일 아냐"

[서울=뉴시스] 박미소 기자 =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신임 이사장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 앞에서 열린 144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재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이사회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0.05.20.  misocamera@newsis.com

[서울=뉴시스] 박미소 기자 =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신임 이사장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의 소녀상 앞에서 열린 1440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일본군성노예제 문재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이사회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0.05.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영화 '김복동'의 해외상영료를 배급사 몰래 모금해 정의연 자금으로 전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배급사 엣나인필름의 정상진 대표가 배급사가 관여할 부분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정 대표는 25일 뉴시스에 "'배급사 모르게'라는 문구는 잘못된 정보다. 해외상영료는 정의연이 우간다의 김복동센타 기금으로 하기로 작년 8월 말 논의가 끝났다. 또 상영료를 모으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상영을 그쪽에서 담당하기로 했기 때문에 모금을 했더라도 배급사가 관여할 부분이 아니다. 거기서 돈을 댄다고 했는데 우리가 감 놔라 대추 놔라 할 일이 뭐가 있나"라고 덧붙였다.

정 대표는 "다만 1만 달러를 모금한 것은 몰랐다고 답한 것이었는데, 그 모금액에는 관람료에 홍보비, 대관료 등의 제반 비용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서울=뉴시스]정의기억연대가 카카오 '같이가치'를 통해 진행한 영화 '김복동'의 해외상영회를 위한 모금액 사용계획(사진=누리집 캡처)2020.05.25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정의기억연대가 카카오 '같이가치'를 통해 진행한 영화 '김복동'의 해외상영회를 위한 모금액 사용계획(사진=누리집 캡처)2020.05.25 [email protected]

앞서 정의연이 지난해 영화 '김복동'의 해외상영회를 한다며 상영료 명목으로 1300만원을 모금했지만, 모금된 돈이 배급사에 들어가지 않고 정의연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시 정의연은 목표액을 약 1800만원으로 책정했다. 모금액은 10회에 걸친 상영료와 전시물·영문 자료집·홍보물 제작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체적 사용처를 알려주는 '모금액, 이렇게 사용됩니다' 항목에는 1회 상영료를 1000만 달러로 책정, 1만 달러를 목표로 잡았다.

다만 정의연은 올해 1월 모금액 사용 내역을 안내하는 코너를 통해 "국내 배급사와 협의해 해외 순회 상영회에 대한 상영료를 면제받았다"며 "상영료로 책정했던 1300만원과 캠페인 진행 후 잔여 모금액은 향후 영화 '김복동' 해외상영회 및 2020년 정의연 해외 캠페인 예산으로 지출하겠다"고 밝혔다.

정의연의 입장을 정리하면 처음에는 배급사에 상영료로 1300만원을 지불하고자 모금을 했지만, 배급사가 상영료를 받지 않기로 해 정의연 예산으로 전용하기로 했다는 취지로 이해된다.

이는 지난해 8월 배급사인 엣나인필름에 해외상영료를 우간다의 김복동센터 기금에서 전용하겠다고 밝힌 것과 상충되는 지점이다.

정상진 대표는 "8월 정도에 정산을 할 거다. 얼마가 들었고 몇 회 상영했다고 보고를 할 거다. 절차적 부분이 남아 있다. 저희로서는 별 일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영화 '김복동' 스틸 (사진=엣나인필름 제공) 2020.05.25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영화 '김복동' 스틸 (사진=엣나인필름 제공) 2020.05.25 [email protected]

영화 '김복동'은여성인권운동가이자 평화운동가였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김복동 할머니를 소재로 한 영화다. 1992년부터 올해 1월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일본의 사죄를 받기 위해 투쟁한 27년간의 여정을 담은 감동 다큐멘터리다. 지난해 8월 개봉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