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3분기 경제성장률 0.6%…수출이 성장 견인(종합)

등록 2023.12.05 08:03:00수정 2023.12.05 10:37: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순수출·민간소비·정부소비 개선

구매력지표인 국민총소득도 1.6% 증가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1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8% 증가한 558억 달러(72조5958억원)로 집계되는 등 2개월째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더불어 지난달 무역수지 역시 6개월 연속 흑자를 나타냈다. 이날 부산 남구 신선대(사진 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2023.12.01. yulnet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1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8% 증가한 558억 달러(72조5958억원)로 집계되는 등 2개월째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더불어 지난달 무역수지 역시 6개월 연속 흑자를 나타냈다. 이날 부산 남구 신선대(사진 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2023.12.0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올해 3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연속 플러스다. 수출이 성장을 주도하며 불황형 흑자에서 벗어난 가운데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건설투자도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 대비 0.6% 성장해 속보치와 같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3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이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4%로 나타났다.

속보치 추계시 반영하지 못한 통계를 추가한 결과 건설투자(-0.2%포인트)와 수출(-0.1%포인트), 수입(-0.3%포인트) 등이 하향 수정되고 정부소비(+0.2%포인트), 설비투자(+0.5%포인트) 등이 상향 수정됐다.

GDP는 지난해 4분기 -0.3%를 기록해 2년 6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됐지만 1분기에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이후 민간 소비가 늘면서 0.3% 성장했고, 2분기에는 순수출 개선에 0.6% 올랐다.

경제활동별로 제조업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을 중심으로 전기대비 1.4%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늘어 2.3% 상승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지만,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이 늘어 0.3% 증가했다.

지출항목별로는 수출은 반도체와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3.4% 증가했고,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2.3% 늘었다. 수입 감소폭이 수출 감소보다 더 컸던 2분기 불황형 흑자에서는 벗어난 모습이다.

민간소비는 서비스(음식숙박, 오락문화 등)를 중심으로 0.3%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사회보장현물수혜(건강보험급여비 등)가 늘며 0.2% 상승했고,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늘어 2.1% 증가했다. 다만,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줄어 2.2% 감소했다.

3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 기여도는 1분기 1.1%포인트에서 0.4%포인트로 낮아졌고, 정부 기여도는 -0.5%포인트에서 0.3%포인트로 높아졌다.

세부적으로 순수출(수출-수입) 기여도는 0.5%포인트를 기록했다.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각각 0.1%포인트, 0.3%포인트 끌어올렸다. 정부소비와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성장기여도는 0%포인트를 기록했다.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손에 쥐는 소득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전기 대비 1.6%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0% 늘었다. 실질 GNI는 국민이 일정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실질 GDP에 그 해 물가를 반영한 명목 GDP는 전기 대비 2.2%, 전년 동기 대비 4.3% 올랐다. 명목 GNI는 전기에 비해 0.5% 올랐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3.6% 상승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동기 대비 2.8% 뛰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괄하는 종합적 물가지수다.

총저축률(32.9%)은 최종소비지출 증가율(1.3%)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0.4%)을 상회하면서 전기대비 0.6%포인트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31.3%)은 총자본형성이 늘어 전기대비 1.0%포인트 하락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