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합참 "북 미사일, 비정상적 회전 후 공중 폭발…재발사 예의주시"

등록 2024.06.28 11:36:11수정 2024.06.28 13:5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합참, 북 미사일 실패 분석 후 발표

"비행 불안정성 미사일 폭발 야기 추정"

[연평도=뉴시스] 김근수 기자 = 북한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한 가운데 26일 연평도 하늘에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 항적운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이 날아가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26일 오전 5시 30분경 북한이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2024.06.26. ks@newsis.com

[연평도=뉴시스] 김근수 기자 = 북한이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한 가운데 26일 연평도 하늘에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 항적운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이 날아가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26일 오전 5시 30분경 북한이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2024.06.2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우리 군 당국은 지난 26일 새벽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비행 초기부터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공중 폭발했다고 분석했다.

합동참모본부는 28일 북한의 개별기동 전투부시험 성공 주장에 대해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상승단계부터 비정상적인 비행 양상이 식별됐다"며 "이러한 비행 불안정성이 미사일의 폭발을 야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6월 26일 오전 5시 30분경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탄도미사일을 1발을 발사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개발 중에 있는 고체연료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시험발사로 추정했다.

이날 미사일은 함경북도 앞바다 무인도 '알섬' 방향으로 약 250km 비행하다 강원도 원산 앞바다 인근 공중에서 폭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합참에 따르면 우리 군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징후를 사전에 탐지해 이를 감시하고 있었다. 미사일은 발사 직후 대탄도탄 감시레이더와 지상 감시자산에 의해 탐지됐다.

이날 북한의 미사일은 전방부대에서 운영하는 열상 감시장비로도 촬영됐다. 해당 영상에서 미사일은 상승 단계부터 동체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보이다가 공중에서 폭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우리 군의 발사 실패 평가가 나오고 난 뒤 북한은 지난 27일 노동신문을 통해 화성-17형과 유사한 형상의 미사일 발사 사진을 공개하며, ‘중장거리 고체탄도미사일 1단계 엔진을 이용한 개별기동 전투부 분리 시험과 유도조종 시험’을 성공했다고 주장했다.

북한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 또한 "미싸일(미사일)총국은 26일 미싸일 기술력 고도화 목표 달성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개별기동 전투부(탄두) 분리 및 유도조종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미 정보당국은 '실패를 덮기 위한 기만·과장’이라고 평가했다.

합참은 "향후 북한은 이번에 실패한 미사일의 재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리 군은 후속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