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일극주의·개딸·중도확장·사법리스크…'이재명의 민주당' 숙제가 산더미[야 이재명 2기 체제]

등록 2024.08.18 18:39:39수정 2024.08.18 22:2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강해지는 '일극주의·팬덤정치'에 다양성 확보 과제로

금투세 등 '우클릭' 행보에 당내 노선 갈등 불가피

정부·여당과 관계설정도 관심…투쟁·협력 '투트랙' 관건

10월로 예상되는 '공직선거법' 1심 선고도 변수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18일 전당대회를 통해 이재명 대표를 압도적 표로 선출하면서 '이재명 2기 체제'가 출범했다. 더욱 공고해진 이재명 일극주의에 대한 비판 여론과 중도 확장을 위한 정책·노선 갈등, 본인을 향한 사법 리스크 대응 등 이 대표 앞에 놓인 과제는 만만치 않다. 2기 지도부는 또 2026년 지방선거 승리와 차기 대선 준비를 위해 대정부 투쟁과 함께 민생 성과를 동시에 보여줘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초반부터 '또대명'(또 대표는 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 대표의 당선이 확실시됐지만 연임 도전은 전례가 없어 뒷말도 무성했다.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대표직을 연임한 인사는 1995년 9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새정치국민회의 총재를 지낸 김대중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당시는 대통령이 정당 대표를 겸하던 시절이어서 이번이 민주당계 정당에서 사실상 처음으로 여겨진다.

이번 연임으로 이 대표의 당 장악력은 더욱 강화됐지만 당내 다양성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도 동시에 안게 됐다. 당권을 놓고 맞붙은 김두관 전 의원은 연일 이 대표 일극 체제와 이른바 개딸로 불리는 강성 지지층의 입김이 강해지는 것을 겨냥해 '민주당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친명횡재, 비명횡사'라는 말까지 나온 4·10 총선을 거치며 당 운영을 친명계가 거의 독점하고 있다. 민주당이 이 대표 일극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을 넘어 사당화 논란도 거세지고 있어 2기 체제에 부담이 되고 있다. 더욱이 이 대표와 호흡을 맞출 최고위원과 시도당위원장도 친이재명(친명)계 일색으로 채워져 여권의 '독주 프레임' 공세는 한층 격화할 전망이다. 향후 당직 인선 등에서 잡음을 최소화하고 탕평의 의지를 보여주느냐가 첫 시험대가 될 수 있다.

당원 주권 강화 흐름 속에서 팬덤 정치의 역기능을 어떻게 극복해 내느냐도 풀어야 할 숙제다. 최고위원 후보 선거가 비전·정책 경쟁보다 개딸 표심을 의식한 충성 경쟁으로 흐른 가운데, 향후 강성 지지층을 바라보고 노선을 정할 경우 민심과의 괴리로 중도 외연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여 투쟁을 하는 동시에 거대 의석을 가진 야당으로서 수권 정당의 능력을 입증해야 하는 점도 주어진 책무다. 이 대표는 출마 선언 때부터 내세운 '먹사니즘'(먹고 사는 문제가 제일)을 기치로 실리를 우선한 민생·경제 어젠다를 띄울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종합부동산세와 금융투자소득세 완화를 거론하는 등 우클릭 행보를 보였는데 이 후보의 중도·실용 정책 방향은 기존의 당 입장과 배치되는 정책이 적지 않아 치열한 노선 투쟁도 예상된다. 당장 내년 1월 1일 도입 예정인 금투세를 놓고 당내에서는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이 대표가 금투세 유예 또는 완화 필요성을 재차 언급한 가운데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은 "부분 보완해 예정대로 시행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반대 목소리를 냈다.

정부·여당과의 관계설정도 관건이다. 민주당은 22대 국회 들어 강경 일변도의 대여 투쟁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각종 특검법을 비롯해 상임위별 청문회를 적극 활용하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공공연하게 거론하고 있다.

그러나 '야당 주도 통과→대통령 거부권 행사→재표결→폐기' 국면이 2개월 넘게 반복되면서 성과 없는 '쳇바퀴 정국'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대여 관계는 민생 성과를 내는 데도 중요한 요소여서 윤석열 정부에 대해 견제하면서도 협치를 끌어낼 수 있는지가 이재명호의 성공 여부를 가를 전망이다.

이 대표 개인적으로는 이른바 '사법 리스크'의 극복이 가장 큰 숙제다. 방탄용 연임이란 비판이 거셀 정도로 '사법 리스크'는 여전히 대선 가도의 최대 난제로 꼽힌다. 이 전 대표는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추가 기소로 동시에 4건의 재판을 받고 있다.

현재 대장동 재판으로 매주 화요일과 격주 금요일, 공직선거법 재판으로 격주 금요일, 위증교사 재판으로 월 1회꼴로 법원을 가는 중인데 대북송금 재판까지 합하면 한 주에 최대 3~4회 법정에 출석해야 할 수도 있다. 여기에 최근 검찰이 '법인카드 유용' 의혹으로 이 전 대표 부부에게 소환 조사를 통보해 5번째 재판이 추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대표 측은 실체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이르면 오는 10월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공직선거법·위증교사 1심 선고가 이 후보 사법 리스크의 1차 분기점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