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올해 955억 원 투입 스마트농업 육성
청년 스마트농가 2500호까지 육성 등
3개 분야 26개 시행 사업으로 구성

경남 스마트팜 온실.(사진=경남도 제공) 2025.02.26.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경남도는 26일 농림축산식품부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년)'에 따라 수립한 955억 원 규모의 '2025년 스마트농업 육성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스마트팜 전문인력 육성 및 정착 지원 5개 사업 154억 원 ▲스마트농업 생산기반 구축 18개 사업 666억 원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기술 확산 3개 사업 135억 원 등 3개 분야 26개 시행 사업으로 구성됐다.
주요 사업내역을 보면 청년창업농 맞춤형 지원 30개소 133억 원, 지역 특화품목 육성단지 5개소 조성 134억 원, 원예작물 하우스 생산시설 현대화 200㏊ 110억 원을 투입한다.
또 스마트 산지유통센터 건립 7개소 116억 원, 청년 소규모 스마트팜 조성 10개소 45억 원, 시설온실 에너지 절감시설 지원 42㏊ 41억 원, 축사시설 현대화 6개소 52억 원, 축산분야 ICT 융복합 지원 24개소 53억 원, 거창군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조성 2025~2027년 200억 원을 각각 투입할 계획이다.
올해 계획에는 주요 정책과제 및 지표도 담았는데, 청년 스마트농가를 올해 2500명까지 늘리고 장기적으로 2029년까지 4500명을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통한 청년창업보육과정 수료생을 올해 178명, 2029년까지는 385명으 배출할 예정이다.
또한 도내 온실 약 1만㏊ 중 올해 500㏊까지 스마트팜으로 전환을 유도하여, 2029년까지 도내 온실 중 35% 정도를 스마트팜으로 시설을 업그레이드한다.
그리고 주요 밭작물인 마늘, 양파, 고추, 녹차를 대상으로 올해 400㏊까지 지능형 농기계 지원 등을 통해 스마트농업 방식 전환을 유도하고, 2029년까지 주요 밭작물 주산지 면적의 20%까지 스마트농업 방식으로 확대한다.
이정곤 농정국장은 "농촌의 고령화 및 노동력 수급이 어려움에 따라 생산 기계화 및 자동화를 통한 지속적인 생산수단 확보가 필요하고,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스마트농업 보급·확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에서는 청년농에 대한 스마트팜 창업 지원을 위해 청년 소규모 스마트팜 지원사업과 청년창업농 맞춤형 지원사업 등 연관 지원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