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최태원·김범수·이해진 국감 증인대 선다…'카카오 먹통' ICT 국감 최대 현안될 듯(종합)

등록 2022.10.17 11:51:48수정 2022.10.17 12:11: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과방위, SK C&C·카카오·네이버 총수 국감 증인 소환키로

데이터센터 화재 원인 및 부실한 카카오 대응체계 집중 질의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정청래 국회 과방위 위원장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박성중 국민의힘 여당 간사의 항의가 이어지자 정회를 선언하고 있다. 정 위원장이 박 여당 간사의 야당 의원과 관련된 발언에 사과 요청을 하자 박 간사는 항의를 이어갔다. 2022.10.11.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정청래 국회 과방위 위원장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설)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박성중 국민의힘 여당 간사의 항의가 이어지자 정회를 선언하고 있다. 정 위원장이 박 여당 간사의 야당 의원과 관련된 발언에 사과 요청을 하자 박 간사는 항의를 이어갔다. 2022.10.1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심지혜 기자 =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발생한 사상 초유의 카카오 서비스 먹통 사태가 국정감사 후반전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4일로 예정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종합감사에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김범수 카카오 의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17일 여야 간사 합의를 통해 과기정통부 종합감사 증인을 최종 결정했다.

출석 증인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박성하 SK C&C 대표, 김범수 카카오 의장, 홍은택 카카오 대표, 이해진 네이버 GIO,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이다.

당초 과방위 여야 의원들은 총수 소환 여부를 두고 의견차를 보였다. 앞서 국민의힘은 김 의장 채택을 야당과 논의하겠다고 했으나 경영진만으로도 충분하다며 기조를 선회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총체적 책임을 지고 있는 이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해왔으나, 결국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 각 기업을 이끌고 있는 총수를 채택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과방위는 이번 국감에서 지난 15일 발생한 판교 SK C&C 화재 원인과 함께 되풀이되는 카카오 서비스 장애에 대해 집중 질의할 예정이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 이번 사태에 대해 쓴소리를 하면서 화재 원인 규명과 함께 재발 방지책 마련에 대한 논의가 국감장을 달굴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밝혀진 발화 원인은 배터리 또는 랙(선반) 주변 전기적인 요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력 공간(전기실)의 화재로 주력 입주사들의 임대공간 서버 전원을 모두 차단했고, 이로 인해 카카오 등 서비스가 마비된 것이다. 정확한 원인은 수사당국의 감식 결과에 따라 밝혀지겠지만 애초부터 데이터센터가 화재에 취약하게 설계됐는지 시각이 제기된다.

화재로 카카오가 피해를 본 것이지만 책임을 피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높다. 네이버를 비롯해 SK 관계사들도 함께 입주한 다른 기업의 경우 카카오와 달리 피해가 적고 서비스 정상화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카카오의 운영 체계가 부실했다는 것이다.

이에 데이터센터 분산 및 이중화는 물론 실시간 백업 시스템을 충실히 갖췄다면 피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카오는 SK C&C 데이터센터를 메인으로 하면서 상당수 서버를 이 곳에 집중시켰다.

자체 데이터센터 유무에 따른 차이로 보는 시각도 있다. 실제 강원도 춘천에 자체 데이터센터 '각'을 보유한 네이버는 서비스 장애 규모가 작았고 복구도 빨랐다.

이와 달리 카카오는 아직 자체 데이터센터가 없다. 내년 한양대 에리카 안산 캠퍼스에 첫 데이터센터를 열고 서울대 시흥캠퍼스에도 자체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의 대응이 늦었다는 비판도 있다. 정 위원장은 "카카오에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대국민 문자 서비스를 할 수 있었는데 그 부분에 대해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도 문제"라며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주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례 없는 카카오 장애 사태로 구글, 넷플릭스 등 빅테크와 통신사가 전면전을 펼친 망 무임승차 문제는 이번 국감 화두에서 다소 밀릴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당초 예정했던 증인이 대표에서 임원급으로 격하되면서 책임 있는 답변을 끌어내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있다.

과방위는 오는 21일 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 증인으로 망 이용대가와 관련한 질의를 위해 낸시 메이블 워커 구글코리아 대표, 피터 알렌우드 애플코리아 대표, 레지날드 숌톤슨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대표를 채택으나 철회했다.

대신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 안철현 애플코리아 부사장, 정교화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 전무로 대상을 변경했다. 증인들이 해외에 거주를 이유로 출석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해왔기 때문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