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난아이 울면 스마트폰 준다?…"사회성 발달에 부정적"
생후 24개월 이전 아동 하루 2시간 이상
부모 없이 미디어 시청 '사회성발달 지연'

[서울=뉴시스]생후 24개월 이전 TV·스마트폰 등 미디어에 하루 2시간 이상 부모 없이 노출되면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2023.03.30. photo@newsis.com.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2013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병원 신경발달행동치료센터에서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받은 96명과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양육자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두 그룹의 평균 연령은 34~36개월이었고, 남아가 여아보다 2.6배 많았다. 분석 결과 2세 이전 미디어 시청 아동의 비율은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95.8%였고, 대조군에서는 59.4%였다.
평균 미디어 시청 시간을 분석한 결과, 2시간 이상 시청한 아동의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63.6%였고, 대조군에서는 18.8%였다.
아동이 미디어를 시청할 때 보호자 동반 여부도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 혼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은 사회성발달 지연군에서는 77.1%, 대조군에서는 38.6%였다.
시청 프로그램의 유형도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였다. 영어 교육과 동화 프로그램 등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한 비율이 대조군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동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는 ‘아이 달래기’와 ‘부모의 우울·건강문제·맞벌이’로 조사됐다.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는 각각 26.5%와 55%였고, 대조군에서는 7.4%와 41.3%였다.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도 2세 이전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을 권장하지 않고 있다. 실제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이용한 관찰 연구에서도 아동이 미디어에 노출되면 인지 과정이 자극되지 않고 주로 시각피질만 자극됐다.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뇌 발달을 훨씬 더 촉진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어린 나이 긴 시간 미디어에 노출되면 부모와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시간이 줄게 된다"면서 "결국 유아의 기억력, 주의력, 인지력의 한계와 미디어의 일방향성으로 인해 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함께 상호교류 속에 제한된 시간만 교육적인 프로그램을 시청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면서 "진료를 할 때에도 과다한 미디어 노출로 인한 사회성 발달 지연의 경우 미디어 중단 후 빠른 호전을 보이는 경우를 경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저널인 ‘글로벌 피디애트 헬스(Global Pediatric Health)’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