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가사적 '둔덕기성' 토성 추가발견…기존 성곽 3배 길이

등록 2024.03.11 12:21:32수정 2024.03.11 14:35: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영남성곽연구소장, 60년대 항공사진으로 현장 확인

[거제=뉴시스] 경남 거제시 둔덕면 소재 국가 사적 509호 '둔덕기성'에서 토성이 추가로 발견됐다. 사진은 지난 8일 문화예술과 문화재팀장 등 3명이 둔덕기성 현장확인을 통해 발견한 토성의 흔적 모습. (사진=거제시 제공) 2024.03.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거제=뉴시스] 경남 거제시 둔덕면 소재 국가 사적 509호 '둔덕기성'에서 토성이 추가로 발견됐다. 사진은 지난 8일 문화예술과 문화재팀장 등 3명이 둔덕기성 현장확인을 통해 발견한 토성의 흔적 모습. (사진=거제시 제공) 2024.03.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거제=뉴시스] 신정철 기자 = 경남 거제시 둔덕면 소재 국가 사적 509호 '둔덕기성'에서 토성이 추가로 발견됐다.

11일 거제시에 따르면 지난 8일 문화예술과 문화재팀장 등 3명이 둔덕기성 현장확인을 통해 토성의 흔적과 범위를 확인했다.

앞서 영남성곽연구소 나동욱 소장과 거제역사문화연구소는 지난 1일 현장조사를 통해 국가 사적 둔덕기성이 기존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만이 아닌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둔덕기성에 토성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은 일부 성곽 연구자뿐만 아니라 둔덕면민들이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지난달 14일 거제시 100년추진단에서 진행한 100년거제디자인 비전 수립 세미나에 제1발표자로 나선 영남성곽연구소 나동욱 소장이 60년대 항공사진을 통해 둔덕기성에 토성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다시 한번 제기했다.

현재 시민숙의단에 소속돼 있는 김의부 소장 등 거제역사문화연구소 회원들은 사전답사를 통해 토성의 존재를 확인했고 성곽 전문가인 나동욱 소장의 현장조사를 통해 정확한 토성 흔적과 범위가 확인된 것이다.

토성구간은 둔덕기성 남쪽에서 석축성곽에 인접해 시작하는 것으로 보이며 일부 구간에 임도가 개설되면서 흔적이 확인되지 않는 구간도 있었지만 너비 10m, 높이 약 2.5~3m(최대 5m)로 양호하게 잔존하고 있었다.

토성의 내벽을 따라 배수를 위한 것으로 보이는 너비 약 3m의 구가 확인됐다. 너비 5m정도의 추정 남문지도 확인됐다.

석성구간도 확인되었는데 석성의 너비도 5~6m 정도이며 외벽은 대부분 무너지고 일부 구간에서는 거제 둔덕기성의 고려시대 수축구간과 유사한 형태이며 너비 5m 정도의 추정 북문지도 확인됐다.

[거제=뉴시스] 영남성곽연구소 나동욱 소장과 거제역사문화연구소는 지난 1일 현장조사를 통해 국가 사적 둔덕기성이 기존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만이 아닌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사진은 현장 확인 모습. (사진=거제시 제공) 2024.03.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거제=뉴시스] 영남성곽연구소 나동욱 소장과 거제역사문화연구소는 지난 1일 현장조사를 통해 국가 사적 둔덕기성이 기존이 석축으로 만들어진 성곽부분만이 아닌 토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사진은 현장 확인 모습. (사진=거제시 제공) 2024.03.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조사를 한 나동욱 소장의 조사 자료에 의하면 새로 확인된 성벽은 전체 둘레 약 1.4㎞(토성 약 450m, 토석혼축 포함 석축성 길이가 약 950m)로 확인돼 현재 지정된 거제 둔덕기성의 길이인 526m보다 약 3배 정도 긴 것으로 밝혀졌다.

그는 초축된 삼국시대 성은 내성, 1차 확장된 고려시대 성은 중성, 이번 확인된 구간을 외성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증축 목적을 다음과 같이 추측해 보았다. 먼저 거제문화원에서 발간한 '거제지명총람(1996)'을 근거로 고려 성종 14년(995) 기존 거제현의 치소였던 둔덕기성을 확장해 왜구의 침입을 대비하고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해 확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두번째로는 고려 의종 24년(1170) 무신의 난으로 의종이 거제도에 유폐된 사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 세번째로는 고려 원종 12년(1271)과 13년(1272) 삼별초의 거제도 공격과 관련한 대피처였을 가능성, 조선 세종 1년(1419) 이종무의 대마도정벌 시 정벌군 집결처인 거제도 내 주둔처의 목적으로 축조됐을 가능성이다.

이 같은 추측은 현재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 향후 정밀 지표조사와 시굴 또는 발굴조사를 통해 시기에 대한 보다 정확한 추측이 가능한 상황이다.

거제시는 국도비 지원이나 별도의 예산을 마련해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성곽의 정확한 축조수법과 축성시기, 성격 등을 규명해 나갈 예정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경우 문화재 구역 확대와 종합정비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