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흔들리는 우리금융 '완전 민영화' 차질빚나

등록 2020.02.09 06:22: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정옥주 기자 =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에 따른 금융감독원의 중징계 결정으로 우리금융지주의 경영리스크가 불거지면서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예보)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DLF 사태 이후 우리금융의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짐에 따라, 보유 잔여지분 처리를 위해 연내 매각 시기를 잡아야 하는 예보의 머릿속이 복잡해졌기 때문이다. 

현재 예보는 우리금융 지분 17.25%(약 1억2460만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우리금융은 지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회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고, 지분매각 등으로 지금까지 총 11조1000억원을 회수했다.

우리금융은 지난 2016년 11월 과점주주 매각을 통해 민영화 기반을 마련했지만, 여전히 예보가 최대주주로 남아 있어 공적자금 투입회사라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또 잔여지분 매각시기가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작용하고 있고, 완전한 민영화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에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6월 예보가 보유한 잔여지분을 올해부터 3년간 최대 10%씩 분산 매각해 오는 2022년 우리금융의 '완전 민영화'를 마무리 짓겠다는 로드맵을 내놨다.

이에 따르면 희망수량경쟁입찰으로 실시하되, 물량이 남으면 잔여물량의 최대 5% 범위 내에서 '블록세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또 매각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매각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사외이사 추천권을 부여하는 등 투자유인책도 적극 고려하기로 했다.

하지만 금감원이 DLF 사태의 책임을 물어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에 대해서는 문책 경고를, 우리은행에 대해서는 업무 일부 정지 6개월 제재를 결정하며 상황이 복잡해졌다. 일단 손 회장의 연임 여부가 불투명해지며 지배구조를 둘러싼 혼란이 가중되고 있고, 일부 영업정지로 수익에 타격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손 회장 개인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의 중징계는 윤석헌 금감원장 전결로 이미 확정됐고, 기관 제재는 다음달 4일께 열리는 금융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의 의결 시점에 따라 손 회장의 연임 여부 및 우리금융의 대응 방향도 달라지게 된다.

이처럼 우리금융의 경영 불확실성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관측되면서, 예보의 잔여지분 매각을 통한 우리은행의 '완전 민영화' 작업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서울=뉴시스】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지난 19일 그랜드 힐튼 서울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우리 리더스 컨퍼런스 2019(WOORI Leaders Conference 2019)'에서 올해 하반기 경영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우리금융그룹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지난 19일 그랜드 힐튼 서울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우리 리더스 컨퍼런스 2019(WOORI Leaders Conference 2019)'에서 올해 하반기 경영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우리금융그룹 제공) [email protected]

앞서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가 유일한 목표는 아니기 때문에 주가가 어느 정도 범위 내에서만 움직인다면 매각은 계획대로 진행하겠다는 원칙을 내놨지만, 금융권에서는 공적자금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매각을 서두를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금융위는 우리금융 주가가 주당 1만3800원일 때 원금이 100% 회수 가능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6월25일 로드맵 발표 당시만 해도 1만3950원있던 우리금융 주가는 지난 7일 기준 1만300원 수준으로 26.2% 하락하는 등 1만원선을 위협받고 있다. 지배구조 불안 이슈가 해결되지 한 주가가 반등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만약 7일 주가 기준으로 잔여지분 매각이 이뤄질 경우, 단순 계산으로 예보는 약 4000억원의 손해를 보게 된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우리금융 민영화 3대 원칙이 깨지는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적정 주가를 기다리다보면 (완전한 민영화)타이밍을 놓칠 수 있고, 그렇다고 작업을 서두르자니 본전도 못찾게 생긴 상황"이라며 "당초 예보가 올 상반기 중 지분 매각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금 상황에서는 쉽지 않아 보인다. 아직 구체적인 논의도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예보 관계자는 "예보는 공적자금 회수의 극대화, 해당 금융지주회사의 빠른 민영화, 국내 금융산업의 바람직한 발전방향 등 3대원칙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유주식을 처분해야 한다"며 "모든 원칙을 충족한 상태에서 추진하긴 쉽지 않겠지만, 일단 과거 사례를 볼 때 기업가치라는 것이 조직안정과 어느 정도 연관은 있는지 등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말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들이 바뀌어 여러 현안을 보고하고 있는 단계로 아직 구체적인 매각 시기를 결정할 만큼의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며 "지금 주가 수준이 원금 회수와 상당히 거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3년 내 완전 민영화라는 취지를 살려나가면서도 시장의 변동성 여부를 지켜보며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