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재난금까지…하반기 물가안정 물 건너가나
소비자물가 넉 달 연속 2%대 상승
농축수산물·집세·석유류 모두 올라
재난지원금 지급 물가 상승 부추겨
이달 금통위서 금리 인상 가능성도
"코로나로 풀린 유동성 회수해야"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바구니를 들고 장을 보고 있다. 2021.08.0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집세, 농축산물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개월 연속 2%를 웃돌면서 고공행진하고 있다. 여기에 재난지원금 등으로 물가 상승 압박이 더욱 높아지면서 정부가 약속한 하반기 물가 안정이 쉽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5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6%로 넉 달 연속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정부는 앞서 3분기부터 물가가 점차 안정세로 접어들 것이라고 밝혔지만, 9년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 5월과 같은 상승 폭을 다시 찍은 셈이다.
특히 서민들의 체감 물가 중심으로 가격이 껑충 뛰었다. 폭염, 조류인플루엔자(AI) 등의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9.6%나 올랐다. 계란 물가는 1년 전보다 57.0% 상승하는 등 가격 오름세가 지속됐다. 돼지고기(9.9%), 국산 쇠고기(7.7%), 사과(60.7%), 배(52.9%), 마늘(45.9%), 쌀(14.3%), 열무(21.1%) 등도 가격이 올랐다.
주거비 부담도 커졌다. 지난달 집세는 전년보다 1.4% 오르며 2017년 11월(1.4%) 이후 가장 크게 상승했다. 전세(2.0%)는 2018년 2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으며 월세(0.8%)도 14개월째 상승 이어지고 있다. 전기·수도·가스비(0.3%)도 지난달 상승으로 전환했다.
농축산물 가격 상승이 재료비 인상으로 이어져 외식 물가는 2.5% 올랐으며 호텔 숙박료(2.7%), 영화관람료(22.9%) 등 여름휴가 관련 물가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석유류 가격 역시 19.7% 오르는 등 국제유가 상승세도 여전하다.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서울 시내의 한 쇼핑몰에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2021.06.27. [email protected]
여기에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담긴 소비 진작책까지 가동되면 하반기 물가 상승 압력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소득 하위 88%를 대상으로 1인당 25만원의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을 추석 전에 지급할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가 안정되면 시행 예정인 신용카드 캐시백(현금성 충전금) 정책 역시 시중의 현금 유동성을 부추길 수 있다.
정부는 물가 오름세가 커지자 "기상 여건 악화,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 추가 상승 등으로 상방 리스크가 상존하고 코로나19 확산세 영향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언급했다. 앞서 '6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당시 "7월 소비자물가는 기저효과 완화 등으로 오름폭이 축소될 전망"이라고 밝힌 지 한 달 만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하반기 안정적 물가 관리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명절 성수품 공급을 확대하고 소고기 및 돼지고기 등 축산물도 수입 등을 통해 공급물량을 늘릴 방침이다. 또 물가 관련 불안요인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올해 물가상승률을 2% 내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오후 대전 서구 이마트 둔산점을 찾아 수입계란 판매 상황 및 농축산물 가격동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 = 기획재정부 제공) 2021.08.0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하지만 일각에서는 풍부해진 유동성을 조이기 위해 결국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내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올해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이달 26일, 10월12일, 11월25일 남은 가운데 10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나 물가 안정을 위해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이와 관련해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8월 금융시장 브리프'를 통해 "글로벌 경기 개선에 따른 수출·투자 호조, 백신 보급과 대규모 초과 저축에 기반한 소비 반등, 추경 등 확장적 재정 기조, 주택시장과 연계된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를 종합적으로 감안해 26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50%에서 0.75%로 25bp(1bp=0.01%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도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인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위기 이전에 많이 풀어놓은 유동성을 어느 정도 회수할 필요가 있다"며 "해외 경기가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런 상황에서 유동성을 계속 풀어놓게 되면 물가를 자극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책 조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