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북한 조기경보통제기 제작 마무리 단계-38 노스

등록 2025.03.05 06:55:29수정 2025.03.05 07:2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23년 10월 개조 작업 시작

최근 삼각형 레이더 돔 장착

중국 기술 지원 받았을 가능성

[서울=뉴시스]중국 조기경보통제기(AEW)인 KJ-3000. 비행기 위에 장착된 레이더 돔이 삼각형 디자인으로 돼 있다. 북한이 최근 화물기를 개조해 만들고 있는 AEW도 삼각형 레이더 돔을 장착하고 있다. (출처=The Aviationist 홈페이지)2025.3.5.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중국 조기경보통제기(AEW)인 KJ-3000. 비행기 위에 장착된 레이더 돔이 삼각형 디자인으로 돼 있다. 북한이 최근 화물기를 개조해 만들고 있는 AEW도 삼각형 레이더 돔을 장착하고 있다. (출처=The Aviationist 홈페이지)2025.3.5.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북한이 첫 공중조기경보통제기(AEW) 개발을 거의 완료한 것으로 보여 북한 공군 전력이 강화될 전망이라고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 노스(38 NORTH)가 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위성영상에 따르면 평양 순안국제공항의 정비 격납고 옆에 주기돼 있는 일류신(IL)-76 항공기의 동체 상단에 대형 레이더 돔이 장착돼 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 레이더 돔은 윗부분이 삼각형으로 돼 있다. 이는 중국 조기경보통제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와 유사하며 미국이나 러시아 조기경보통제기에는 사용되지 않는 구조다.

일부 중국 조기경보통제기의 경우, 120도씩 구역을 나누어 맡는 3개의 위상배열 레이더를 배치하는 3각형 구조로 돼 있다.

따라서 북한의 조기경보통제기가 중국의 지원 또는 기술적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북한이 개조한 항공기는 북한 고려항공이 화물기로 운용하던 IL-76 3대 중 하나다. 지난 2023년 10월부터 개조 작업이 시작됐으며 지난해 11월까지 레이더 돔이 장착되지 않았다가 이번에 장착된 상태가 포착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yjkang1@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