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손익 4년만에 적자전환…손해율 악화
매출 전년비 1.8% 감소…손해율 3.1%p 상승
![[서울=뉴시스] 자동차보험 사업실적 추이. (사진=금융감독원 제공) 2025.04.0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4/NISI20250404_0001810238_web.jpg?rnd=20250404183827)
[서울=뉴시스] 자동차보험 사업실적 추이. (사진=금융감독원 제공) 2025.04.0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권안나 기자 = 지난해 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손익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적자 전환했다. 자동차보험 수입 감소와 손해율 상승 등에 따른 결과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자동차보험 사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보험 매출액(원수보험료)은 전년 대비 1.8% 감소한 20조6641억원을 기록했다.
대형 손해보험사(삼성·현대·KB·DB)의 점유율이 85.3%를 기록해, 전년 수준을 유지하는 등 과점 구조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비대면 보험사(악사·하나·캐롯)의 점유율은 6.4%로 전년비 소폭(0.1%p) 상승했다.
판매채널별 비중은 ▲대면 47.8% ▲CM(온라인 판매) 35.8% ▲TM(전화판매) 16.0% ▲PM(플랫폼 판매) 0.4% 순 이며, 대면과 TM채널이 축소되고, CM은 확대(2.0%p↑) 추세가 지속됐다.
지난해 자동차부문 보험손익은 합산비율(발생손해액과 사업비의 합계 금액이 해당 기간의 경과보험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손익분기점을 초과해 전년 대비 5636억원 감소한 97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보험손익 및 투자손익(5988억원)을 모두 고려한 지난해 자동차부문 총손익은 5981억원의 이익을 시현했다. 같은 기간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3.8%로 전년(80.7%) 대비 3.1%p 상승했다. 이는 보험료 수입(원수보험료)이 감소하고, 사고건수 증가 등으로 발생손해액이 확대된 것에 기인한다.
지난해 자동차보험 사업비율(설계사 수수료 등 사업비가 해당 기간의 경과보험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3%로 전년 대비 소폭(0.1%p↓) 개선됐다. 대면채널 축소에 따른 대리점수수료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보험료 인하 효과 누적 및 2025년도 정비공임 인상 등의 요인으로 손해율 악화 가능성이 상존한다"며 "'자동차보험 부정수급 개선대책'이 안착되도록 약관개정 등 후속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고, 부당한 보험금 누수 등을 방지해 향후 손해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ymmnr@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