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재평가 잭슨 前대통령 초상화·군부 깃발 철거
노동·인권운동 아이콘 시저 차베스 흉상 설치
마틴 루서 킹·로버트 케네디 흉상 등도 나란히
노동·인권운동 아이콘 시저 차베스 흉상 설치
마틴 루서 킹·로버트 케네디 흉상 등도 나란히
![]() |
[워싱턴=AP/뉴시스]조 바이든 제 46대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 날인 20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 앉아 있다. 2021.1.21. |
워싱턴포스트(WP)는 20일(현지시간) 새 단장한 백악관 집무실 내부 모습을 묘사하면서 바이든 신임 대통령이 미 대통령의 책상인 '결단의 책상' 건너편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커다란 초상화를 중심으로 미국 지도자들과 아이콘들로 가득 채웠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마틴 루서 킹 주니어 목사와 로버트 케네디 전 대통령의 흉상이 벽난로 옆에 놓여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종종 시민권 운동에서 두 사람이 미친 영향에 대해 언급하곤 했다.
'결단의 책상' 뒤엔 노동·인권 운동의 아이콘 시저 차베스 흉상을 설치했다. 아프리카계 시민권 운동가 로사 파크스의 흉상,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부인이자 유엔 인권위원회(UNCHR) 초대 위원장 등을 지낸 인권 운동가 엘리너 루스벨트 흉상도 놨다.
치리카와 아파치족의 앨런 하우저가 말을 타고 달리는 모습의 조각품도 서 있다. 이 조각품은 일본계 최초 하원의원인 대니얼 이노우에의 것이었다.
정치가이자 과학자인 벤저민 프랭클린의 초상화도 걸었다. 이것은 바이든 대통령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WP는 해석했다.
반대로 미국의 7대 대통령인 잭슨 전 대통령의 초상화는 철거했다. 그는 독립전쟁에 참전했던 군인으로 이후 정치인으로 변신해 대통령까지 됐지만 원주민에 대한 가혹한 정책과 노예 무역 등을 자행한 백인우월주의자로 재평가 받고 있다.
이 외에 결단의 책상 뒤에 전시했던 군부 깃발도 치웠다. 대신 성조기와 대통령 직인이 찍힌 다른 국기로 대체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wshin@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