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EU FTA 10년, 수혜 품목은 '자동차·배터리'

등록 2021.06.30 12:26: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한국의 대EU 자동차·전기차 수출 현황 및 주요국의 대EU 배터리 수출 현황.(그래픽=한국무역협회 제공) 2021.6.3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한국의 대EU 자동차·전기차 수출 현황 및 주요국의 대EU 배터리 수출 현황.(그래픽=한국무역협회 제공) 2021.6.3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정규 기자 = 2011년 7월 1일 우리나라가 아시아 국가들 중 처음으로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을 발효함에 따라 지난 10년간 자동차와 배터리 등의 분야가 혜택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 EU시장 선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3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한·EU FTA 10주년 성과와 시사점'에 따르면 FTA 발효 후 우리나라는 자동차, 배터리, 화학제품, 일부 농수산식품 등 품목에서 수혜를 입었다.

자동차의 경우 EU의 수입관세가 철폐되면서 2019년 84억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이는 2010년의 33억 달러보다 2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내연기관 차량은 현지 생산이 늘면서 2017년 이후 수출이 감소하고 있지만 대신 전기차 수출이 2017년 2억 달러에서 지난해 46억 달러로 급증하면서 자동차 전체 수출을 견인하고 있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리튬이온 배터리도 FTA 발효 즉시 관세가 철폐돼 다른 경쟁국들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화학제품 수출도 FTA 발효 전인 2010년 12억 달러에서 지난해 71억 달러로 연평균 19.2%씩 증가했고 특히 배터리 소재 중 하나인 양극재의 수출 증가가 두드러졌다.

농수산물의 경우 여전히 EU로부터의 수입이 훨씬 크지만 지난해에는 FTA 발효 전 대비 125% 증가한 4억50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주로 한국산 참치, 버섯, 김치 및 조미김, 음료 등이 FTA 관세 혜택을 본 것으로 파악됐다.

한·EU FTA는 소재·부품·장비의 수입처 다변화에도 기여했다. 2010년 우리나라의 일본 소재 수입 비중은 32.6%, EU 소재 수입 비중은 10.1%였지만 FTA 발효 후 지난해에는 일본 수입 비중이 20.8%까지 하락한 반면 EU 수입 비중은 13.6%까지 상승했다.

보고서는 "한·EU FTA 발효 이후 EU의 프리미엄 소비재가 우리 시장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오히려 우리 기업들이 기술, 품질, 디자인 등 비가격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됐다"면서 "EU로부터 자동차 수입이 늘어나면서 국산 신차 모델 수가 늘어났고 최근에는 2000cc 이상 대형차의 국산차 점유율도 FTA 발효 이전보다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가전도 중국이 중·저가 시장을 장악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유럽 브랜드와 경쟁을 통해 프리미엄 전환을 적시에 진행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무역협회는 한·EU FTA 발효 10주년을 기념해 다음달 1일 오후 4시 온라인 컨퍼런스를 열어 지난 10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전망을 공유한다. 제현정 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실장과 마커스 바이러 비즈니스유럽 사무총장이 나서서 발표하며 패널토론에는 이혜민 전 주프랑스대사를 비롯해 양국 기업인과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