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농해수위원, 양곡법 거부 건의에 "식량안보 포기"
"쌀 생산 조정 외면, 시장격리만 강조"
정황근 장관 보고 비난…"책임 묻겠다"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지난해 10월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리고 있다. 2022.10.27. (공동취재사진) photo@newsis.com
29일 농해수위 소속 민주당 의원 12명은 기자회견을 열고 양곡법 거부권 행사 건의를 두고 "명백한 국민 호도이며, 식량안보를 포기하는 행위"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번에 국회를 통과한 양곡법은 쌀 생산 조정을 통해 과잉생산 구조를 해소, 우리 국민에게 필요한 쌀만 생산하기 위한 쌀 가격 안정화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한덕수 국무총리는 양곡법 개정안의 한 축인 쌀 생산 조정은 외면하고 쌀 시장격리 의무화만 강조하며 대통령 거부권을 운운하는 담화문을 냈다"고 지적했다.
또 "농민 이익을 대변해야 할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여당 의원조차 의구심을 표한 농촌경제연구원 분석을 토대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쌀 시장격리를 의무화하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늘어 과잉구조가 더 심화될 것이란 정부여당의 주장은 거짓이며, 정부가 아무 대책도 마련 않는 상황을 전제로 한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민주당 주장 개정안대로 하면 매년 4만㏊ 이상의 쌀 재배면적이 타작물 재배로 전환될 것인데 무슨 근거로 60만t의 쌀이 과잉 생산된단 건가"라고 말했다.
이들은 "한 총리는 태국 사례를 운운하면서 양곡법이 농민과 농업 발전에 도움 안 된다 주장하는데, 태국은 쌀 생산 조정을 전혀 추진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쌀도 초과 생산량이 발생하거나 값이 폭락할 경우 매입하는 게 아니라 1년 생산량의 40%를 매입하도록 해 실패한 건데, 정부여당은 엄연히 다른 정책을 같다고 국민을 우롱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농가 현실을 짚었으며 "작년에 쌀값이 25%나 폭락한 건 재정 당국이 자의적 판단으로 논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을 폐지하고 쌀 시장격리를 미뤄 쌀값 폭락을 방치해 왔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 장관에 대해선 "현실을 모르지 않을 것"이라며 "그럼에도 대통령의 눈과 귀를 가리고 거부권을 행사하도록 건의한 건 매우 무책임하다"고 비난했다.
이와 함께 "국회 농해수위 소속 의원 12명은 4월3일 전체회의를 열어 윤 대통령에게 양곡법 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데 대해 정 장관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윤 대통령은 양곡법 개정안을 민심을 받들어 즉시 공포하고 정 장관을 즉시 해임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won@newsis.com, yeodj@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