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잘알]올 시즌 첫 도입된 KBO리그 '부상자 명단'은?
1군 엔트리 말소돼도 등록일수 인정
한 시즌 최대 30일 가능
메이저리그는 10·15일, 60일로 운용
[서울=뉴시스] 박민석 기자 = 프로야구 구단에서 관중을 경기장의 25%입장만 허용하기 시작한 11일 오후 서울 구로구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2020 신한은행 SOL KBO리그 한화 이글스 대 키움 히어로즈의 경기에서 3회 말 1사 2루 키움 박병호가 투런 홈런을 치고 있다. 2020.08.11. [email protected]
지난해까지만 해도 KBO리그는 부상자 명단을 운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선수들은 자신의 '일'을 하다 다치더라도 1군에서 말소돼 등록일수를 인정받지 못하는 등 손해를 봐야 했다.
한 번 엔트리에서 제외된 선수는 10일이 지나야 다시 1군에 올라올 수 있기 때문에 작은 부상은 팀의 '고민거리'가 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4~5일이면 회복될 부상을 입은 선수를 1군 엔트리에 남겨 놓고 이 기간 기용하지 않거나, 1군에서 제외해 열흘간 휴식을 주고 대체 선수를 불러올리는 것 중 선택을 해야 했다.
◇ KBO리그 부상자 명단, 최대 30일·조기 복귀 가능
KBO는 올 시즌을 앞두고 KBO리그 규정 제 14조3항에 부상자 명단 관련 조항을 신설했다. 이에 따라 현역선수로 등록돼 있는 선수가 경기 또는 훈련을 하다 다치면, 부상자 명단 등재를 신청할 수 있다.
부상자 명단에 올라 있는 동안에는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더라도 현역선수 등록일수로 인정이 된다. 예상보다 부상 회복이 빠르면 열흘을 채우지 않고도 1군에 돌아올 수 있다는 점도 부상자 명단의 특징이다.
등록일수는 자유계약선수(FA) 자격에 영향을 미친다. 고졸 선수의 경우 9년 동안 매 시즌 145일 이상 1군에 등록돼 있어야 FA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부상 등으로 145일을 채우지 못할 경우 '한 시즌'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만큼 등록일수는 선수에게 민감한 문제다.
다만 부상자 명단 등재가 무한정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시즌에 등록 가능한 일수는 최대 30일이다. 10일은 3회, 15일은 2회, 30일은 1회에 한 해 등록할 수 있단 뜻이다. 만약 10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등재된 후 4일 만에 복귀하더라도 10일 부상자 명단을 사용한 것으로 처리된다.
부상자 명단 등재는 해당 시즌에 현역선수로 1일 이상 등록한 선수에 한해 적용된다. 부상자 명단 등재를 원할 경우 구단은 선수의 최종 경기 출장일의 다음날부터 3일 이내에 신청서를 KBO에 제출해야 한다. 구단 지정 병원에서 발급한 진단서도 필수로 첨부해야 한다.
일찍부터 부상자 명단의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였던 현장에서는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등록일수에서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된 선수들은 물론 엔트리 운용을 보다 유연하게 할 수 있게 된 구단도 제도 도입을 반기고 있다.
16일까지 부상자 명단을 가장 많이 이용한 구단은 삼성 라이온즈다. 시즌 초반부터 선수들의 연이은 부상으로 한숨이 깊었던 삼성은 총 28회 부상자 명단 등재를 신청했다.
[세인트피터즈버그=AP/뉴시스] 메이저리그(MLB)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보 비솃. 비솃은 16일(현지시간) 갑작스런 무릎통증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라 18일 류현진 선발 경기에 결장하게 됐다. 사진은 지난 7월27일 경기 모습이다. 2020.08.17
삼성 라이온즈에서는 백정현과 구자욱, 장필준, 김헌곤이 세 차례씩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LG 트윈스 차우찬과 이민호, 정찬헌도 각각 세 차례 등재됐다. 이들은 올해 더 이상 부상자 명단을 신청할 수 없단 의미다.
한화 이글스는 18차례, NC 다이노스와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가 17차례씩 부상자 명단을 사용했다. KT 위즈와 KIA는 각각 16차례, 14차례로 뒤를 이었다.
부상자 명단 등록이 가장 적었던 팀은 키움 히어로즈와 롯데 자이언츠다. 이 두 팀은 나란히 12차례 사용에 그쳤다.
◇ 메이저리그의 부상자 명단은
미국 메이저리그(MLB)는 1915년 부상자 명단을 도입했다.
메이저리그에서 부상자 명단은 IL(Injured List)로 불린다. 2018년까지 DL(Disabled List)로 표기됐지만, 메이저리그(MLB) 사무국은 Disabled(장애)라는 뜻을 가진 단어를 부상자에게 사용되는 게 잘못됐다고 판단, 공식 명칭을 IL로 변경했다.
메이저리그 부상자 명단 운영방식은 KBO리그와는 조금 다르다.
먼저 메이저리그 로스터는 26인 로스터와 40인 로스터로 나뉜다. 26인 명단은 현재 메이저리그에서 뛰고 있는 액티브 로스터로 KBO리그 1군 엔트리로 볼 수 있다.
다만 MLB 사무국은 25인 로스터를 올해부터 26인으로 확대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팀당 60경기 단축 시즌을 맞게 되면서 개막 로스터를 30인까지 늘렸다.
갑작스런 시즌 개막에 따른 선수들의 부상 위협을 줄이기 위한 조처였다. 개막 2주 뒤부터는 28인 로스터로 변경돼 시즌을 완주하게 된다.
[뉴욕=AP/뉴시스] 메이저리그(MLB) 뉴욕 양키스의 일본인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가 5일(한국시간) 미국 뉴욕주 브롱스의 양키스타디움에서 진행된 팀 훈련에서 지안카를로 스탠튼의 타구에 맞은 후 트레이너에게 응급처치를 받고 있다. 2020.07.05
40인 로스터에 올라있는 선수를 네 차례 마이너리그로 보내면 구단은 해당 선수에 대한 보유권을 상실한다. 이를 막기 위해 구단들은 다른 구단에 주기 아까운 선수들을 부상자 명단에 등록하기도 한다.
여러 변화를 거쳤던 메이저리그의 부상자 명단은 올해부터 10일과 15일, 60일로 운영된다.
2016년까지 15일, 60일로 나누어져 있던 것을 2017년부터 10일, 60일로 변경했는데, 올 시즌부터는 투수와 투타 겸업 선수들은 10일이 아닌 15일 부상자 명단으로 바뀌었다.
부상이 심하지 않은 선발 투수를 부상자로 올려놓고, 로스터를 한 명 더 가용하는 등 투수진 꼼수 운용에 악용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서다.
선수가 10일 혹은 15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오르면 26인 로스터에선 제외되지만 40인 로스터에는 남아있게 된다. 대신 서비스타임(등록 일수)은 인정받는다. 구단은 이 기간 40인 로스터에 안에 있는 선수를 26인 로스터에 등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상자 명단 등록 일자는 마지막 출전 날짜를 기준으로 소급 적용 된다. 한번 부상자 명단에 오르면 투수는 15일, 야수는 10일 동안 메이저리그로 돌아올 수 없다는 것도 KBO리그와 다른 점이다.
60일 부상자 명단에는 수술이나 큰 부상을 당한 선수들이 등재된다. 이 명단에 오르면 40인 로스터에서도 빠지지만, 메이저리그 서비스타임은 역시 인정된다.
60일짜리 부상자 명단에 등재됐던 선수가 부상자 등록 해제가 되면 구단은 40인 로스터에 복귀시키거나 방출 대기 조처(Designated For Assignment) 처리해야 한다.
2011년에는 7일짜리 뇌진탕 부상자 명단도 도입했다. 머리 부상을 입은 선수가 이를 가볍게 여기다 큰 부상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부상자 명단에 오르면 최소 10일 경기에 나설 수 없는 것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조처이기도 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