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의 '한국전 외교'…文 '후한 대접' 눈길
명예훈장 수여식 첫 정상 초청…"영예"
文 방미 중 아시아계 증오범죄법 서명
美의회는 종전선언 촉구 결의안 첫 발의
文, 알링턴묘지 방문…'한국전 외교' 화답
[그래픽=뉴시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과 문재인 대통령.
20일(현지시간) 외신들을 종합하면 바이든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문 대통령을 '대접'하는 일련의 조치들을 취했다.
이 중 가장 상징적인 것은 한국전 참전용사에게 미국 최고 무공훈장인 '명예 훈장'(Medal of Honor)을 수여하는 행사에 문 대통령을 초청한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정상회담이 열리는 21일 6·25전쟁 영웅인 랠프 퍼킷 주니어 미 육군 퇴역 대령에게 명예 훈장을 수여한다. 취임 후 첫 명예 훈장 수여다. 외국 정상이 명예 훈장 수여식에 참석하는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백악관에 따르면 퍼킷은 1950년 11월 미 육군 특수부대인 제8레인저중대를 이끌면서 중공군과의 전투에서 205고지를 점령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문 대통령을 수여식에 초대한 것은 한미 동맹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액시오스는 이를 두고 "문 대통령의 백악관 방문은 높은 영예를 포함한다"면서 "수여식에 문 대통령을 초청한 것은 바이든 대통령의 외교, 군사, 국내 정치에 대한 접근법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 준다"고 했다.
이 매체는 특히 이 같은 평가를 내놓으면서 문 대통령이 한국전쟁이 끝나기 몇 달 전 전쟁 중 북한에서 내려온 피란민 부모에게 태어났으며 이후 특수부대에서 봉사했고 인권 변호사로도 활동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한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범죄 방지 법안'(COVID-19 Hate Crimes Act)에 서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증한 아시아계에 대한 혐오 범죄를 규탄하는 목소리를 꾸준히 내왔지만 이 법안을 문 대통령 방미에 맞춰 서명한 것은 일종의 선물과도 같다는 분석이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에서도 아시아계 혐오 범죄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두 정상은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면서 "우리는 인종에 따른 차별은 어떤 사회에서도 용납돼선 안 된다는 점에 동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외에 미 의회에서도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 기조를 반영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미 하원 외교위 소속 브래드 셔먼 의원과 한국계 앤디 김 의원 등 민주당 하원의원 4명은 이날 '한반도 평화 법안'(Peace on the Korean Peninsular Act)을 발의했다. 종전 선언과 평화 협정 체결, 북미 연락사무소 설치 등이 골자다.
법안은 특히 지난 2018년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판문점 회담을 상기, "두 정상은 정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대체하고 항구적이고 견고한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미국이 관여하는 회담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고 적시하면서 이를 감안한 미 국무부의 외교적 관여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도 바이든 대통령의 '한국전 외교'에 화답하는 행보를 보였다.
문 대통령은 20일 미 최대 국립묘지 중 하나인 버지니아 알링턴국립묘지를 참배하는 것으로 방미 일정을 시작했다. 이 곳엔 한국전 참전 전사자 및 가족 40만여 명의 유해가 안치돼 있다.
문 대통령은 이미 3차례 워싱턴DC를 방문했지만 이 곳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견고한 한미 동맹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6월 취임 후 첫 방미 땐 장진호 전투 기념비를 찾았다. 장진호 전투는 한국전 당시 민간인 구조 작전 '흥남철수'를 성공으로 이끈 전투로, 문 대통령의 부모가 이 피란민 행렬에 속해 있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 성사는 이미 한미 동맹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인식이 반영된 것이란 해석이 많았다. 미국은 한미 동맹을 "동북아 안보와 평화·번영의 핵심축"으로 자주 묘사해왔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대면 정상회담을 갖는 두 번째 해외 정상이다. 양국 간에는 한반도 비핵화를 목표로 한 대북 정책을 비롯해 코로나19 대응 및 백신 협력, 반도체·배터리 분야 협력 및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기후변화 공동 대응 등 주요 현안이 산적해 있다.
핵심 의제 중 하나로 전망됐던 중국 견제 인도·태평양 안보 협의체 '쿼드'(Quad)의 한국 참여에 대해선 백악관과 일본 외무부가 "확대 계획이 없다"고 한 상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