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자재값 인상에 아파트 착공 급감…공사중단 가능성도 계속

등록 2022.04.21 13:15:00수정 2022.04.21 14:35: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올해 1~2월 착공 실적, 전년 대비 36.9% 감소

일부 철콘 업체 파업단행…공사재개에도 불안

"정부 가이드라인·행정지침 없어 현장서 혼란"

[대구=뉴시스]이무열 기자 = 대구 범어네거리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2021.02.17. lmy@newsis.com

[대구=뉴시스]이무열 기자 = 대구 범어네거리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 2021.02.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철근·콘크리트 등 건설 원자재 가격이 최근 폭등하면서 전국 건설현장에서 착공이 지연되고 공사가 중단되는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전날 일부 철근·콘크리트 업체들의 파업 결의로 공사가 무기한 중단(셧다운)될 뻔 했던 공사현장들은 다행히 오늘부터 다시 공사를 재개했지만 아직도 전국 곳곳에 파업 가능성이 열려있어 아슬아슬한 긴장감이 이어지고 있다.

2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에서 착공된 주택은 4만4352채로 전년 동기(7만288채)에 비해 36.9%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은 2만7781채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4만3272채가 착공한 것과 비교하면 35.8% 줄었고, 5대 광역시를 포함한 지방은 1만6571채로 전년 동기(2만7016채)에 비해 38.7% 감소했다.

이미 공사를 시작한 현장들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철근·콘크리트 등으로 건물 뼈대를 세우는 골조공사 전문 업체들이 연달아 공사중단을 시도하며 단가조정 협상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철콘 업계는 지난달 2일 전국 30여개 건설현장에서 계약단가 인상을 요구하며 첫 공사 중단에 나섰다. 그러나 이후 별다른 진전이 없자 2차 셧다운을 의결했다.

이에 호남·제주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소속 52개 업체는 전날 하루 전국에 있는 200개 현장을 멈추고 전면 파업에 돌입하기도 했다.

서울·경기·인천 등 타지역 연합회들은 셧다운 직전인 지난 19일 현대건설과의 대화가 성사되자 셧다운 계획을 취소했고, 호남·제주 연합회 역시 파업 당일이었던 지난 20일 오후 원청사 5곳과 협상 끝에 오늘부터 공사를 재개하기로 했지만 아직도 파업 가능성은 열려 있다.

철콘 업계 관계자는 "현재는 한 달 정도 기다려 보면서 (단가 인상을) 청구해보겠지만 현대건설 등 시공사들이 더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면 더 강한 투쟁을 벌여야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전국 곳곳에서 공사 차질이 현실화되자 지난 15일 시공사와의 분쟁으로 공사가 중단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조합 내부에서는 "(이번 공사중단은) 어차피 철근·콘크리트 문제로 공사를 중단할 수밖에 없는 시공사업단에서 책임을 조합에 돌리려는 것 같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골조 공사는 건물의 뼈대를 세우는 핵심 공정으로 공사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공기 지연 등의 우려가 나올 수 있다.

그럼에도 철콘 업계가 집단 파업까지 불사하는 것은 현재 하도급 단가로는 폭등한 건설자재 가격과 인건비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가 가장 크다.

실제 시멘트와 골재, 철근 등 건자재 가격은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철콘연합회가 조사한 자재비 인상 폭을 살펴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3~8월 계약분) 철물, 각재·합판 가격은 각각 50% 상승했다. 또 기타 잡자재도 40% 올랐다.

실제 철근의 원료가 되는 국제 고철 가격은 13년 만에 처음으로 t당 60만원 선을 넘어섰다. 현대제철 철근 기준 가격의 경우, 지난해 1월 t당 70만원이던 것이 현재 99만1000원으로 30만원 가량 올랐으며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인건비 인상률도 두드러졌다. 형틀 재래식(15%), 알폼 시공(30%), 철근 시공(10%) 모두 두 자릿수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공급 문제로 인한 자재값 폭등인 만큼 정부가 나서서 공급난 해소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한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당장 자재값이 30~40%씩 올라가면서 시멘트·목재·철근 등 자재 조달이 어려워 지고 있는데, 공사를 흙으로만 할 수는 없지 않겠느냐"며 "자재값이 오르면 건축비도 오르고, 인건비와 분양가까지 높아지는데 현 정부도 새 정부도 가이드라인이나 행정지침을 내놓지 않고 있어 현장에서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