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 대통령 바이든 vs 트럼프 대결 윤곽…韓 반도체는?

등록 2024.03.09 10:00:00수정 2024.03.09 11:57:3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바이든·트럼프, 상이한 반도체 정책

美 보조금 향방도 갈리나

미국우선주의 기조는 이어질 전망

[워싱턴·휴스턴=뉴시스]미국 대선을 약 1년 앞두고 유력 주자간 가상 대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조 바이든 대통령을 4%포인트 앞서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바이든(왼쪽)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대국민 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2일 텍사스주 휴스턴의 트렌드세터 엔지니어링 앞에서 선거 유세하면서 제스처를 취하는 모습. 2023.11.09

[워싱턴·휴스턴=뉴시스]미국 대선을 약 1년 앞두고 유력 주자간 가상 대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조 바이든 대통령을 4%포인트 앞서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바이든(왼쪽) 대통령이 지난달 19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대국민 연설을 하고 있는 모습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2일 텍사스주 휴스턴의 트렌드세터 엔지니어링 앞에서 선거 유세하면서 제스처를 취하는 모습. 2023.11.09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미국 대선이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대결로 굳어지는 가운데 두 후보의 산업 정책이 한국 반도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4년 만에 맞붙는다.

두 후보는 선거 유세 기간에 공통적으로 미국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산업 정책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후보가 내놓을 산업 관련 공약에 따라 미국에 진출해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다. 차기 대통령이 누구냐에 따라 현지 반도체 사업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양 후보의 반도체 정책은 상당 부분 차이를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연임 시 현재 추진 중인 반도체지원법을 계속 강행할 수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미 미국 정부에 반도체지원법에 따른 보조금을 받기 위해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상태다.

바이든 정부는 미국 내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반도체 공장 유치에 주력하고 있는 만큼 보조금을 활용한 반도체 육성 정책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높아지는 상황을 의식해 당초 계획보다 보조금 지원 계획을 더 일찍 내놓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바이든 정부는 연임 시 동맹국들과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압박도 더 강화할 수 있다.

특히 이에 대응하려는 중국 반도체 업체들의 자체 개발이 봇물을 이루며 초미세공정에서 삼성전자 등이 더 큰 압박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중국의 SMIC는 대중 수출 정책이 강화된 상황에 7나노미터 칩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시스]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이 공개한 미국 테일러 공장 건설 현장 (사진=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인스타그램 갈무리) 2023.07.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이 공개한 미국 테일러 공장 건설 현장 (사진=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인스타그램 갈무리) 2023.07.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 재집권 시,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정책은 철회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한국 기업들의 현지 사업도 만만치 않게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170억 달러를 들여 텍사스주 테일러에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 SK하이닉스도 150억 달러 규모의 패키징 공장을 짓기 위해 부지를 검토 중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미 수출품에 10% 기본 관세를 추진할 예정인만큼 반도체 수출에서도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1월 트럼프 캠프가 미국 무역 적자의 원인으로 한국 등을 지목, 관세 대상 국가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한국 기업들은 대관 담당 조직을 강화하며 미국의 기조 변화에 적극 대비하는 모양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해외 정부와의 소통을 담당하는 GPA팀(글로벌퍼블릭어페어스)을 GPA실로 승격시켰다. SK하이닉스의 경우, SK그룹이 최근 각 계열사의 대외협력 조직을 통합한 'SK아메리카스'를 통해 미국 정부 대관 기능을 강화한다.
                                                 
업계에서는 두 후보 중 누가 당선되든 '미국우선주의' 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본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기조에 크게 흔들리지 않도록 국내 및 제3 국가에 대한 적절한 투자 분배가 이뤄져야 한다"며 "한국 정부와도 힘을 합해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