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다문화 학생 6년만에 2배…"맞춤형 교육 절실"

등록 2022.02.08 18:41:4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가교육회의, 다문화 교육 지원 체제 포럼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학생 수 12.7% 줄어

다문화 학생 수는 8만→16만명…비율 2.7%로

교사·학부모 "언어장벽 여전…사업도 파편화"

[세종=뉴시스]국가교육회의는 8일 오후 부산 비펙스(BPEX)에서 화상으로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체제 점검 포럼'을 열었다.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영상 캡쳐). 2022.02.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국가교육회의는 8일 오후 부산 비펙스(BPEX)에서 화상으로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체제 점검 포럼'을 열었다. (사진=국가교육회의 유튜브 영상 캡쳐). 2022.02.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 지난 6년간 학령인구가 12.7% 감소했으나 다문화 학생 수는 2배가 늘어났다는 통계가 나왔다. 현장 교사와 학부모들은 다양한 출신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지원 체계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교육개발원(KEDI) 정동철 연구원은 8일 오후 부산 비펙스(BPEX)에서 화상으로 열린 국가교육회의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체제 점검 포럼'에서 다문화 학생 규모와 비율을 분석한 교육통계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 결과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7년 동안 전체 유치원과 초·중·고교 학생 수는 680만6411명에서 594만2186명으로 12.7% 감소했다. 반면 다문화 학생 수는 같은 기간 8만2536명에서 16만58명으로 늘어 전체 학생 중 비율도 1.2%에서 2.7%로 상승했다.

지난해 다문화 학생 비율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이 5.0%로 가장 높았고 충남(4.1%), 전북(3.8%), 경북(3.7%), 충북(3.5%), 강원·제주(각 3.0%) 등 순이었다.

규모별로는 전체 16만58명 중 경기도에 4만667명(25.4%)이 집중돼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1만9368명, 12.1%), 경남(1만2316명, 7.7%) 등 순서로 많았다.

학교급에 따라서는 초등학교가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가장 높은 4.2%였으며 2017년 3.1%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같은 기간 중학교는 1.2%에서 2.5%, 고등학교는 0.6%에서 1.1%로 함께 높아졌다.

다문화 학생 6년만에 2배…"맞춤형 교육 절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지난해 다문화 학생이 1명이라도 있는 학교가 전체 6309개교 중 97.1%인 6126개교에 이른다. 중학교는 96.3%, 고등학교는 88.6%다. 사실상 거의 모든 학교에 다문화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날 포럼 발제자와 토론자로 나선 교사와 전문가들은 이런 추이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노동 인구 감소, 한류 문화 등의 영향으로 선호도가 높아져 이주 요구가 높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준성 경남 김해 진영금병초 교사는 "언어와 문화, 출신 지역, 국내 출생 여부, 중도 입국 여부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는 학생들을 단순히 '다문화 학생'이라 통칭하며 일괄 대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충북, 충남, 전남의 일부 농산어촌에서는 다문화 학생이 전체 학생의 10~15%에 육박하는 곳도 나타나 일괄적으로 묶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다양한 출신 국가,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러시아 사할린 재외동포 3세인 부산대 경영학과 재학생 하정수씨는 "초중고 시절 학교 생활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 중 언어가 가장 큰 고민이었다"며 "출결, 수행평가, 내신, 입시제도 등 외국과 다른 점이 많은데 정보 부족도 어려움이 컸다"고 지적했다.

경기 안산 선부초에 자녀를 보낼 예정인 러시아 출신 학부모 남 올레싸(안산 선일초 원어민 교사)씨는 "원어민 교사로 재직하는 학교에서 졸업식을 했는데, 러시아 및 CIS 권역 학생의 60%가 한국어가 아니라 러시아어로 말을 해서 안타까웠다"며 "많은 다문화 학생들이 졸업 후 중학교에 입학하면 더 많은 수업과 더 어려운 내용으로 학업을 포기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대안으로는 이중언어 교사를 양성하고 배치하거나, 교육부는 물론 법무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등으로 소관 부처에 따라 파편화 된 다문화 지원 사업을 통합해 일관성 있고 장기적 측면의 정책을 입안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신용일 부산 주례중 교사는 "기존의 이중언어 강사들은 모든 수업에 투입하기에는 수가 부족할 뿐더러 교과 내용 자체에 취약한 등 전문성에도 한계가 크다"며 "임용시험에 어학 가산점을 의미 있게 부여하거나, 교대와 사대에 일정 비율 이상 특별전형을 마련해 다문화 학생들이 진입할 통로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