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출신 국회의원 다수 배출했는데…산업부 '빈손' 이유는
산업부·정치권 간 이해관계 맞지 않는 영향
정치권, '예산' 기재부와 '규제' 국토부 선호
산업부, 산하기관·업계 러브콜 많은데 '굳이'
[세종=뉴시스] 야당 대승으로 끝난 4·10 총선에서 기획재정부는 기재부 출신 국회의원 당선인을 다수 배출했으나 같은 경제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당선인을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기재부에 비해 산업부 관료들과 정치권 사이 이해관계가 맞지 않아 일어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2024.04.1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12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4·10 총선에서 기재부 출신 당선인은 7명인 반면 산업부 출신 당선인은 한 명도 없다.
기재부는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한 추경호 전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을 비롯해 송언석, 안도걸 전 기재부 차관 등 당선인 7명을 배출했다. 국민의힘에서 5명, 더불어민주당에서 2명이 당선됐다.
반면 추 전 부총리와 같이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한 방문규 전 산업부 장관은 수원시병에서 44.58%를 득표해 김영진 민주당 후보에 밀려 2위에 그쳤다.
김학도 전 산업부 차관이 충북 청주흥덕에, 김성진 전 산업부 대변인이 광주 광산을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사표를 냈으나 공천받지 못하고 예선에서 떨어졌다.
비단 이번 총선뿐 아니라 이전 총선에서도 산업부 출신 관료들은 국회와 연이 없었다.
2020년 치러진 총선에서도 산업부 출신 국회의원은 없었고 2016년 치러진 20대 총선에서야 산업부 장관을 지냈던 윤상직 전 의원이 국회에 입성했다.
산업부와 정치권에서는 기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국회의원을 배출하지 못하는 이유로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지 않다는 점을 꼽는다.
정치권 입장에서 산업부보다는 기재부나 국토교통부 등 타 부처 관료가 더 매력적이라는 평이 나온다.
예산을 담당하는 기재부와 규제 부처인 국토부에 비해 주로 기업을 상대로 하는 산업부 출신은 유인이 적다는 것이다.
특히 기재부의 경우 자연스레 정치권과 연결될 경로가 있다는 점도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기재부 관료는 기재부에서 일하다가 어느 시의 경제부시장, 혹은 어느 도의 경제부지사 등을 맡으며 특정 지역과 유대관계를 쌓기 쉽다"며 "이를 기반으로 정치적 기반으로 삼을 지역을 보다 쉽게 선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민생에 보다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세법 등에 전문성이 있어 정치권에서도 기재부 출신이 더 매력적인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산업부 관료 입장에서도 부처 특성상 산하기관이 많은 데다 산하기관이 아닌 사기업에서도 '러브콜'이 많아 굳이 정치권에서 낙선 위험을 감수할 유인이 크지 않다는 점이 꼽힌다.
산업부 산하기관은 41개로, 부처 중에서도 많은 편으로 분류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하기관도 많은 편인데다가 기업을 상대로 하는 업무가 많은 부처 특성상 사기업에서도 산업부 관료 출신을 데려가려는 움직임이 많다"며 "기재부나 국토부 출신에 비해 유권자에게 어필할 요소가 적을 텐데 정치권에서도 산업부 출신이 '관리 대상'은 아닌 듯 하다"고 말했다.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