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안성·이천 고농도 미세먼지 주범 '암모니아'…"농축산 배출 줄여야"

등록 2020.10.04 0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안성·이천 양돈업 多…암모니아로 2차 미세먼지↑

"국내 초미세먼지 정책, 교통·발전 부문에 집중돼"

"농축산 암모니아 배출 원인 실태조사·통계 부실"

"지역별 발생원인 파악…저감 우선순위도 정해야"

[서울=뉴시스] 돼지 축사의 모습. 양돈업의 악취·암모니아 발생량은 소, 닭 등 기타 업종보다 높은 편이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돼지 축사의 모습. 양돈업의 악취·암모니아 발생량은 소, 닭 등 기타 업종보다 높은 편이다. (사진=뉴시스 DB).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경기도 안성·이천 지역은 농·축산업에서 나오는 암모니아 때문에 다른 수도권 지역보다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5㎍/㎥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현재 교통·발전 부문 중심의 초미세먼지 저감 대책만으로는 지역별 초미세먼지 저감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농축산 지역의 초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이려면 정부가 암모니아 배출과 관련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4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 따르면 KEI가 최근 발간한 '지역 차원의 미세먼지 관리 필요성: 농축산 부문 암모니아 다배출 지역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만들어진 보고서에서 이 같이 지적됐다.

◇안성·이천 암모니아 다량 배출…고농도 초미세먼지 원인은 양돈업

농축산 부문에서 주로 배출되는 암모니아는 2차 미세먼지 생성에 기여하는 '미세먼지 원인물질'이다. 암모니아는 특히 경기 안성·이천 지역의 고농도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으로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 안성과 이천 지역에선 지난 2018년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30㎍/㎥를 초과했다. 초미세먼지 '나쁨'(36~75㎍/㎥) 일수는 연 100일을 넘었다. 이는 같은 해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25㎍/㎥였던 서울보다 높은 것이다.

이에 안성, 이천 지역을 포함한 경기 남부권 지방자치단체는 공동협의체를 구성한 후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교차궤도 적외선 탐측기(Cross-track Infrared Sounder·CrIS) 위성을 이용해 대기를 관측했다. 관측 결과 이 지역의 암모니아의 농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상세 조사 결과 경기 남부권은 국가 산업단지가 없는 대신 농·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배출량이 유독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안성, 이천 지역의 2016년 암모니아 배출량은 각각 5697t, 5246t이었다. 두 지역의 암모니아 배출량 순위는 각각 7위와 10위였다.

특히 안성 지역의 전체 암모니아 배출량 중 농축산 부문의 비율은 97%에 육박했다. 이천 지역에선 매년 4~6월에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았는데, 이 시기의 암모니아 농도가 연중 가장 높았다. 4~6월에 농축산업이 활발한 점을 미뤄볼 때 농축산업에서 배출되는 암모니아가 초미세먼지 생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뉴시스] 경기도의 시군구별 농축산 부문 암모니아 배출량 현황. (자료=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제공). 2020.10.0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경기도의 시군구별 농축산 부문 암모니아 배출량 현황. (자료=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제공). 2020.10.04. [email protected]

두 지역의 축산업 구조를 분석한 결과 양돈업이 주를 이뤘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양돈업의 악취·암모니아 발생량은 소, 닭 등 기타 업종보다 높은 편이다. 지난 2015년 기준 이천 지역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양돈농가가 있었다. 같은 시기 안성 지역 내 양돈농가 수는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았다.

지역별로 초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원인물질의 배출 비율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안성과 이천이 포함된 수도권에선 질산화물(NOx)과 암모니아의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환경부의 '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에 따르면 지역별 초미세먼지 직접 배출량은 ▲영남권(36%) ▲충청권(24%) ▲호남권(20%) ▲수도권(1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질산화물 배출량은 ▲영남권(29%) ▲수도권(28%) ▲충청권(20%) ▲호남권(16%) 순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원인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지역별 배출 비율은 ▲영남권(36%) ▲수도권(29%) ▲호남권(18%) ▲충청권(14%) 순이었다.

특히 지난 2016년 경기도의 암모니아 배출량은 연 4만6000t으로, 충남에 이어 전국에서 2위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우리나라는 작은 국토 면적에도 다양한 미세먼지 관련 배출원들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별 배출 특징과 배출 물질이 다양하다"며 "지역별 배출 특성을 고려해 대기오염 저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통·발전에 집중된 감축 정책…농축산 암모니아 배출 실태 파악해야"

연구진은 국내 초미세먼지 감축 정책은 교통과 발전 부문에만 집중된 반면 농축산 부문 감축에는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대기관리권역법)이 지난 4월3일 시행됐다. 특별법에 따라 '대기관리권역'으로 지정된 수도권·중부권·남부권·동남권 4개 권역은 권역별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4개 권역은 오는 2024년까지 권역별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를 33% 이상 줄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권역관리체계 전환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확대 ▲자동차건설기계 배출가스 억제 ▲항만·선박, 공항, 생활주변 배출원 등 사각지대 관리 강화 등을 시행해야 한다.

연구진은 대기관리권역 기본계획에 농축산 부문의 암모니아 배출을 관리하는 내용을 포함한 지역 맞춤형 대기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시스]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정된 4개의 권역. (자료=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제공). 2020.10.0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정된 4개의 권역. (자료=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제공). 2020.10.04. [email protected]

암모니아 배출 저감 정책에 필요한 배출량 통계가 확립되지 않았다는 비판도 나왔다.

연구진에 따르면 암모니아 배출량은 온도, 습도, 강수 등 기상 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부가 발표하는 배출량 통계엔 기상 조건에 따른 배출량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연구진은 지난해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함께 마련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에서 처음으로 농축산 분야 암모니아 저감 대책이 나왔지만, 실제 배출 저감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또 지역별 암모니아 배출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한편, 지자체에서 암모니아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해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지역별로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배출 저감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또 암모니아 저감 우선지역을 선정하는 한편, 암모니아 저감에 필요한 기초 연구조사가 뒤따라야 한다.

연구진은 이 밖에 농축산 지역의 암모니아를 줄일 수 있는 해외 사례를 제시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에선 가축의 성장단계별 단백질 섭취를 조절해 배설물의 암모니아 발생량을 억제하고 있다. 또 가축분뇨 저장 시 덮개를 사용하고, 암모니아 분해·기화를 억제하는 방안도 시도하고 있다.

미국에선 농업이 주로 발달한 주에서 암모니아 배출량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유럽에선 2000년 대비 올해 암모니아 배출량을 68%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가축 생산량과 관계없이 농가에 암모니아 배출량 감축에 필요한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