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2023년까지 바이오산업 민간투자 10조…정부, '지원자'로 나선다

등록 2020.11.18 12:58: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내년 바이오 R&D 예산 1.7조…올해보다 30% 늘어

정부·기업 투자 성과로 연결하는 '핀셋형 지원' 필요

산업부, 의약품·의료기기·디지털헬스 등 지원 세분화

과기부, 바이오 융합 기술 기반 신기술·신산업 창출

[서울=뉴시스] 정부는 18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인천 송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기지.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서울=뉴시스] 정부는 18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은 인천 송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기지.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세종=뉴시스] 이승재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바이오헬스 분야 주요 기업들이 2023년까지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개별 기업 투자가 산업 전반의 성장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지원자 역할을 맡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그간 정부는 '빅3' 산업 가운데 하나로 바이오헬스를 지정하고 집중 육성하는 정책을 펼쳐왔다.

이를 통해 올해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연간 100억 달러 수출을 달성하기도 했다. 지난 10월 기준 누적 수출액은 107억7000만 달러이다. 같은 기간 신약 기술 수출도 9조원에 달한다.

관련 예산도 증가하는 추세다. 정부는 내년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올해에 비해 약 30% 확대된 1조7000억원을 편성했다. 특히, 범부처 협력 연구에는 지금보다 2배 많은 6400억원을 투입한다.

민간 투자도 대폭 늘었다. 산업부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분야 주요 기업 36곳과 벤처캐피털 5곳은 2023년까지 10조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 이 계획이 성공적으로 이행되면 연평균 약 20%의 생산 증가와 9300명가량의 신규 고용이 창출될 수 있다.

이제는 기업의 투자가 성과로 연결될 수 있는 '핀셋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나온다. 이번 바이오산업 전략도 지금까지의 성과를 점검하고 미진한 부분은 보완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서울=뉴시스]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9월24일 서울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바이오소재·부품·장비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에 참석해 격려사를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0.09.24.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9월24일 서울 여의도 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바이오소재·부품·장비 연대협력 협의체 발족식'에 참석해 격려사를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0.09.24. [email protected]



산업부는 의약품과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분야별 지원책을 내놨다.

구체적으로 의약품 부문 소재·부품·장비 자립화를 위한 '의약품 제조 혁신 센터' 구축이 추진된다. 여기서는 국산화가 시급한 원부자재·소형장비 16개 품목을 중점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대형장비 등은 중장기 과제로 분류해 지원한다.

전문인력 공급을 위해 연세대 국제캠퍼스에는 바이오 인력양성센터가 들어선다. 이를 통해 2024년부터 연간 개발·공정 인력 2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의료기기의 경우 병원·기업 공동 R&D 품목을 발굴해 내수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선다. 단기 자급화 품목은 1·2차 병원과 기업을 중심으로 지원하고 중장기 경쟁력 강화 품목부터는 3차 병원의 역할이 강화되는 식이다.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한 R&D 투자도 강화된다. 해당 예산은 기존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1조2000억원),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사업'(420억원) 등을 활용하기로 했다.

100만명 규모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데이터플랫폼도 구축된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가명 처리 표준화와 관련 기술 개발도 병행한다.

디지털 헬스케어 초기 시장 창출을 위해 산업 현장 인력, 취약계층 등에 대한 '국민 체감 가능 서비스'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건강 관리 서비스 인증제'도 도입된다.

산업부는 바이오산업의 지역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전략 클러스터를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내 주요 바이오산업 클러스터는 송도, 원주, 오송·대구가 꼽힌다.

송도는 의약품을 중심으로 인력 공급과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맡고, 원주는 의료기기·헬스케어 시장 진출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오송·대구는 창업 확산과 사업화 인프라 기반을 강화한다.

바이오메디컬 활성 소재, 세포치료제 등에 대한 공용 생산 시설도 지역에 구축된다. 밴처캐피탈 등 사업화 전문가 그룹이 지역 컨설팅을 추진할 수 있는 바이오카라반도 설치된다.

또한 공유 연구 장비와 개방형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오픈랩을 설치하고, 온라인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버츄얼 클러스터도 만들어 클러스터 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서울=뉴시스] (사진=뉴시스 DB)

[서울=뉴시스] (사진=뉴시스 DB)



과기정통부는 바이오 기술 융합에 기반한 신기술, 신산업 창출 방안을 마련했다.

4대 핵심 분야는 전자, 화학소재, 에너지, 생산이다. R&D 고도화를 통해 인간 증강 로봇(전자+바이오), 친환경 플라스틱(화학+바이오), 생명체 자원 에너지화(에너지+바이오), 합성생물학 활용 생산(생산+바이오) 등과 관련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런 기술에 데이터·인공지능·네트워크·전자기술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작업도 이뤄진다. 이러면 연구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도 있다.

이외에 방역·토양관리·범죄예방 등 사회 시스템 전반에도 바이오 기술이 활용될 전망이다.

범용플랫폼과 분석·공정, 미래 유망 융합 등 3대 분야 공통 핵심 기술에 대한 전략적인 지원도 이뤄진다. 정부는 '바이오 공통 핵심 기술 관리 위원회'를 구성해 산업 수요에 기반한 기술별 지원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기업 수요에 맞춰 마련됐다"며 "바이오산업은 첨단 분야에 대한 R&D가 중요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에 대한 투자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