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방역 피로감 확산에…당국, 방역패스 논란 등 적극 해명

등록 2022.01.04 15:41:1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백신·거리두기 무용론 직접 언급 후 설명

오후 기자단 설명회에서 20분 이상 할애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5일 오후 광주 동구 전남대학교병원 코로나19 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에서 50세 미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에 대한 화이자 백신 교차접종이 이뤄지기 앞서 의료진이 준비하고 있다. 2021.07.05. hgryu77@newsis.com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5일 오후 광주 동구 전남대학교병원 코로나19 예방접종 위탁의료기관에서 50세 미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에 대한 화이자 백신 교차접종이 이뤄지기 앞서 의료진이 준비하고 있다. 2021.07.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남희 정성원 기자 = 전날부터 방역패스 유효기간이 적용되면서 백신 3차 접종이 사실상 의무화된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까지 더해지며 피로감이 분출되고 있다.

방역 당국은 4일 최근 불거진 '방역조치 불신론'에 이례적으로 긴 시간을 할애해 해명에 나섰다. 최근 제기되는 다양한 의혹을 직접 언급하며 답변하는 형식이다.

고재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위기소통팀장은 이날 오후 기자단 설명회에서 "일각에서 제기된 백신 접종이 효과가 없다, 방역패스나 거리두기 조치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겠다"고 운을 뗐다.

고 팀장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절반 이상이 백신 미접종자라는 점을 접종 효과의 근거로 제시했다. 최근 8주간 위중증 환자의 53.1%, 사망자의 53.2%가 미접종자였다.

'지난해 5월 처음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는 일방적인 봉쇄조치로,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으며 코로나19 예방에 효과적이란 증거가 없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방대본은 "어느 나라든 거리두기 조치를 병행하고 있고 이는 코로나19 방역 정책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고도의 방역 정책을 유지하는 데 사회적 어려움은 있지만, 거리두기를 강화하지 않고 유행을 통제한 경우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코로나19 백신 접종증명·음성확인제(방역패스) 유효기간 제도 시행 이틀째인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을 찾은 시민들이 QR코드 인증을 통해 방역패스 유효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2022.01.02.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코로나19 백신 접종증명·음성확인제(방역패스) 유효기간 제도 시행 이틀째인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을 찾은 시민들이 QR코드 인증을 통해 방역패스 유효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2022.01.02. [email protected]

백신을 접종하면 거리두기를 완화해야 하는데 오히려 강화했다는 비판에는 "새로 개발된 백신이다보니 몇 번을 맞아야 효과가 지속될지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가 없다. 어느 정도로 추가 접종을 해야할지 불확실성이 있고, 변이 출현 가능성도 있다"고 해명했다.

백신을 2차까지 접종하면 감염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으나, 델타 변이 출현과 백신 효과 감소로 추가 접종이 필요해졌다는 점을 설명한 것이다.

백신을 접종할수록 더 강한 변종 바이러스가 생긴다는 주장에는 "인류 역사상 감염병이 존재하지 않았던 적은 없다. 인간은 감염병에 효과적인 수단을 개발하고, 바이러스도 이에 맞서 진화하는 끊임없는 과정"이라며 "만약 백신을 도입하지 않았다면 중국이나 유럽의 유행 초기처럼 굉장히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대응했다.

국내에서 순수하게 코로나19로 인해 숨진 사망자가 전체의 0.0003% 수준인 169명에 불과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거리두기와 방역패스 조치를 실시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란 목소리도 있다. 지난달 23일까지 코로나19 사망자는 5015명으로 이 중 기저질환자는 4800명, 기저질환 유무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가 169명, 조사 중인 사람이 46명이다.

방대본은 "나라마다 사망자 통계 기준이 다르다. 순수하게 코로나가 영향을 끼친 경우 사망자라 보는 경우도 있고, 기저질환을 악화시켜 사망해도 코로나 사망자로 보는 경우도 있다"며 "우리나라는 후자에 속하는데, 기저질환 사망자 4800명을 제외해버리면 코로나의 실제 영향을 과소평가 할 수 있어 통계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기저질환자를 포함하면 1년여 정도에 50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온 건 무시하지 못할 숫자"라며 "강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다면 몇 배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수 있다. 미접종자 포함 다수의 국민을 보호하는 방역패스와 같은 수단은 비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국민을 보호하는 안전 조치"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