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코인 퇴출되나"…혼돈의 코인시장에 2030 패닉
폭락 후 가격 회복 못 하는 코인 시장
'잡코인 상폐' 도미노에 투자자들 한탄
[서울=뉴시스]조성우 기자 =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에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2021.06.21. [email protected]
21일 글로벌 암호화폐 시황 분석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21분 기준 최근 24시간 국내 4대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의 거래액은 5조548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 한때 이들 거래소의 하루 총거래액이 20조원을 넘었던 것과 비교하면 4분의 1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최근 크게 떨어진 암호화폐 가격이 반등 기미를 보이지 않자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얼어붙은 영향이 크다. 대표적인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경우 지난 4월14일 8100만원선까지 치솟은 뒤 한때 3600만원대까지 떨어졌다가 현재 4100만원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시장 폭락을 이끌었던 테슬라의 비트코인 결제 중단에 대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조건부로 재개할 수 있다는 트윗을 올리고,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지정하며 반등하는 듯했지만 중국 등의 규제 움직임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조기 인상 전망과 같은 악재에 불확실성이 더 커진 모습이다.
[서울=뉴시스]조성우 기자 =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에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2021.06.21. [email protected]
국내 거래대금 1위 거래소 업비트는 지난 18일 24종의 코인에 대해 상장 폐지를 결정했고, 2위 빗썸도 17일 4종의 코인에 대해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대형거래소뿐 아니라 중소거래소들도 속속 알트코인 상장폐지를 결정하고 있다.
거래소들의 코인 구조조정은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른 사업자 신고를 앞두고 어느 정도 예견된 수순이라는 평가가 업계에서 나온다. 거래소에 부실한 코인이 많을 수록 불리한 평가를 받을 수 있어 '김치코인'이라고 불리는 국내 소규모 암호화폐 등을 퇴출시키고 있다. 또 거래소의 자체 발행 코인 취급이 금지되면서 거래소와 관련된 코인도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알트코인 투자 비중이 높은 국내 투자자들은 거래소들의 기습적인 상장 폐지와 불확실한 상장 폐지 기준에 당황해하고 있다. 상장 폐지가 결정된 코인이나 유의종목으로 지정되며 사실상 퇴출이 예고된 코인들 시세가 대부분 크게 떨어지며 손실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코인 투자 열풍을 이끈 2030 투자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각 커뮤니티들에선 대응책을 고심하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일부 투자자들은 "존버(끈질기게 버티기)해야 하나", "손실금만 회복하고 떠나야겠다"라는 반응을 보인 반면, "코인 시장 당분간은 암울할 것 같다", "코인은 잊고 본업에만 충실해야겠다"라며 시장 탈출이 낫다고 보는 투자자들도 상당하다. 일각에선 "이 때 줍줍(줍고 또 줍는)해야 한다"라며 저가 매수 기회로 삼는 투자자들도 보인다.
공격적으로 알트코인을 상장해온 거래소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투자자는 "투자자를 보호할 것 같았으면 애초에 상장도 하지 말았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청와대 청원게시판에 정부를 비판하는 글도 올라왔다. 지난 7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개인 투자자의 입장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 정부의 잘못된 암호화폐 규제 방향을 바로 잡을 것을 청원한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4100여명이 참여했다.
이 청원인은 '거래소 자체 발행 금지 코인 금지'에 대해 "거래소코인과 김치코인에 얼마나 많은 개인 투자자들의 피땀섞인 자금이 들어가있는지 한번이라도 생각해 보셨나"라며 "거래소 사업계획이나 비전 등 여러가지를 찾아보고 고민해 작게는 몇백에서 크게는 몇억까지 투자한 사람들이 수없이 많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가 무조건적으로 상장폐지를 강제한다면 상장폐지하면 어차피 끝이니 개인투자자들이 믿고 투자한 거래소와 코인사 측에선 이번 기회에 어떤 책임도 지지 않고 회피하게 되는 결과가 생길 것"이라며 "무조건적인 금지와 폐쇄의 접근법은 지양하고 건전한 시장 조성과 투자자 보호에 정책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