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은 "하반기 물가 2% 내외 등락...국제유가 당분간 70달러"(종합)

등록 2021.06.24 16:37:3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올해 근원물가 1% 웃돌듯…내년에는

빠른 경기회복·수요측 물가상승 압력 높아져

한은 "코로나19 수요민감물가 2% 가까이 올라"

생산자물가, 곧바로 소비자물가 상승 가져와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46(2015=100)으로 1년 전보다 2.6% 올라 지난 2012년 4월(2.6%)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0% 상승, 4개월째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2일 서울 서대문구 영천시장에서 달걀이 판매되고 있다. 2021.06.02. bjko@newsis.com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46(2015=100)으로 1년 전보다 2.6% 올라 지난 2012년 4월(2.6%)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0% 상승, 4개월째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2일 서울 서대문구 영천시장에서 달걀이 판매되고 있다. 2021.06.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2% 내에서 등락하고, 근원물가는 1%를 웃도는 수준에서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앞서 지난 5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1.3%에서 1.8%로 0.5%포인트 올려 잡은 바 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저효과가 약해지면서 다소 낮아지겠으나 빠른 경기회복과 함께 수요측 물가상승압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에는 최근의 물가 오름폭 확대를 주도하고 있는 농축산물 가격, 유가 등 공급 요인의 영향이 줄어들면서 1%대 중반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지난 2년간 0%대에 그쳤던 근원물가 상승률은 1%를 웃도는 수준에서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지난해 4월 0.1%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점차 높아져 올 4월(1.1%), 5월(1.2%)에는 1%를 웃돌았다. 관리물가를 제외할 경우 근원물가 상승률은 4월과 5월 각 1.7%로 오름폭이 더 확대 됐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수출과 투자가 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도 더욱 개선되는 등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물가상승률은 지금보다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기 시계에서 보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 또한 적잖이 잠재해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시행한 재정부양책과 대규모 유동성 공급이 빠른 경기회복과 맞물려 물가상승압력을 더욱 확대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친환경 경제로의 이행 과정에서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장기화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높은 물가상승률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경우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면서 추가적인 물가상승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최근 소비자물가 오름폭이 확대된 건 농축수산물, 유가 등 공급요인이 주도한 가운데 개인서비스 물가도 상당폭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4∼5월중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품목별 기여도를 분해해보면, 농축수산물(1.0%포인트), 서비스(0.8%포인트), 석유류(0.7%포인트) 순으로 기여도가 크게 나타났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의 영향으로 오름세가 크게 낮아졌다가 감염병 확산에 따른 소비활동 제약 완화 등으로 올들어 예년 수준(2015~2019년 평균)의 오름세를 회복했다. 특히 외식물가(학교급식비 제외)는 5월 현재 전년말대비 1.7% 상승하며 예년 수준(1.4%)의 오름세를 상당폭 상회했다. 

한은은 코로나19 확산 당시 감소했던 '코로나 수요 민감물가'도 오름폭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 수요 민감물가'는 지난해 초 코로나19 확산 당시 코로나19가 부정적 수요 충격으로 작용해 구매량이 감소한 근원물가를 대상으로 작성한 물가지수다. '코로나 수요 민감물가'는 지난해 4월 -0.1%에서 8월 0.7%, 올해 4~5월 1.9%로 올랐다.

한은은 "코로나 수요 민감물가가 지난해 4월 -0.1% 수준까지 낮아졌다가 올 4월 이후 2%에 근접한 수준으로 오름폭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유가가 최근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선 것과 관련해서는 당분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OPEC 플러스(OPEC+)의 감산폭 축소, 이란의 원유 수출 재개 등으로 수급이 개선되면 최근의 오름세가 점차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최근 국제유가가 한 달 전 전망 시에 예상했던 수준을 넘어 70달러를 웃돌고 있다"며 "유가는 국내물가에 파급 효과가 상당히 큰데 유가 상승세가 예상했던 것보다 지속이 된다면 당초에 봤던 물가 전망치에 비해 상방리스크가 클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수요 측면에서 수출과 투자가 호조를 이어지는 가운데 소비도 더욱 개선되는 등 경기회복세가 뚜렷해짐에 따라 물가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또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에 시차를 두지 않고 곧바로 전가 한다는 조사 결과도 내놨다. 한은이 물가지수 간 시차상관관계를 시산한 결과 2010년 이후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는 대체로 동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물가지수 간 시차상관관계는 0으로 나타났다. 시차상관관계가 '0'이라는 것은 생산자물가가 상품에 곧바로 반영된다는 것을 뜻한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생산자물가의 상승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전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원자재가격 상승이 수입물가에 영향을 주고, 다시 생산자물가를 올려 최종으로 소비자물가에 전가 되는 식이다.
 
한은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생산자물가의 상승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전가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시차상관관계를 보면 두 물가지수는 대체로 동행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한은은 생산자물가가 시차를 두지 않고 바로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고 있는 이유로, 소비자물가 빠른 속도로 전가되는 경향이 높은 석유류나 농축수산물 등의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다.
 
농산물과 석유류, 관리물가를 제외한 생산자물가와 근원물가 간의 관계를 보면 근원생산자물가가 근원물가로 전가되는데는 3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단계별로도 생산자물가 내 원재료지수 상승률과 중간재지수 상승률은 근원물가 상승률에 각각 5개월, 3개월 선행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내구재와 서비스 등 최종재는 곧바로 반영됐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원자재가격의 경우 생산자물가를 거쳐 소비자물가에 전가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향이 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금속가격의 경우 생산자물가에 파급되는 데 1개월 정도 걸리지만 소비자물가에는 약 11개월 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원자재가격 상승이 소비자물가로 파급되는 데 1년의 시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기존보다 커지면서 금리 인상 시기를 연내로 첫 언급했다. 이 총재는 "지금의 통화정책, 금리 수준, 완화 정도는 실물경제에 비해 비춰 볼 때 상당히 완화적"이라며 "연내 늦지 않은 시점에 통화정책을 질서있게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은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또 박종석 부총재보가 최근 '금리를 한두 번 올리게 된다고 해도 긴축이라고 볼 수 없다'고 한 것과 관련해 의견을 묻자 "저도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며 "지금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한 두 차례 인상한다고 해도 통화정책은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답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