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통신선 복구, 월북·월남 등 우발사건 관리 가능
[서울=뉴시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7일 브리핑에서 "남과 북은 7월27일 오전 10시를 기해 그간 단절됐던 남북간 통신 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수석은 "남북 양 정상은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하면서 남북 간 관계회복 문제로 소통을 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단절됐던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사진은 2020년 09월 16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자유의집에 설치된 남북직통연락실에서 연락관이 북측에 연락을 취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1.07.27. [email protected]
남북 간 현안을 즉시 다룰 수 있는 수단이 확보됐다는 점도 중요하다. 통일부는 이날 "남북 간 소통이 다시는 중단되지 않고, 복원된 통신연락선을 통해 남북 간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고 합의사항들을 실천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해 6월 대북전단 사태 이후 통신선이 단절되면서 남북 간 협의 자체가 중단됐다. 이에 따라 돌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파장 확산을 막을 안전판이 없었다.
이 와중에 지난해 11월과 올해 2월 북한 주민 귀순, 지난해 7월 탈북민 재입북 사건, 지난해 9월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살 사건 등이 발생했다. 그럼에도 통신선을 통한 남북 간 소통이 없었다. 소통 부재에 따라 즉각적인 협의가 불가능했고 불필요한 논란이 확산됐다.
우리 군 당국 역시 통신선 복구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서울=뉴시스]29일 해양경찰청이 북한에서 피격된 해수부 공무원의 표류 예측을 분석한 결과 실종 당시 조석, 조류 등을 고려해 볼 때 단순 표류일 경우 소연평도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남서쪽으로 표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군통신선 복구로 사문화되다시피 했던 9·19 남북 군사합의에 다시 힘이 실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역사적인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 일명 9·19 군사합의를 보면 3조에 '남과 북은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들어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고 안전한 어로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군사적 대책을 취해 나가기로 하였다'란 내용이 있다.
이번 통신선 복구를 계기로 북한의 도발적인 태도에 변화가 있을지도 관건이다. 북한은 북미 핵협상 중단을 이유로 9·19 군사합의 이행을 게을리 하고 있다. 북측은 2019년 11월 창린도 포 사격 훈련과 지난해 5월 중부전선 감시초소(GP) 총격 등을 통해 합의를 어긴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