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민주 "오염수 1년내 우리 바다 온다는데…尹정부 대책 시급"

등록 2023.06.23 15:20:32수정 2023.06.23 15:40: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日 오염수 해양 방류, 돈 때문에 택한 것"

"왜 해양투기 대신 다른 대안 요구 못하나"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윤재갑(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하며 단식에 들어간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앞에서 동료 의원들과 피켓을 들고 있다. 2023.06.20. amin2@newsis.com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윤재갑(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하며 단식에 들어간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앞에서 동료 의원들과 피켓을 들고 있다. 2023.06.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임종명 여동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23일 윤석열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내놓은 해양 방사능 조사 지점 확대, 분석 주기 단축 등의 대책으론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지난 19일부터 정부의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에 대응해 '1일 1질문 브리핑'을 진행 중이다. 이날은 당 해양수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고, 방류 반대를 주장하며 4일째 단식을 벌이고 있는 윤재갑 의원이 진행했다.

윤 의원은 "독일 해양 연구소에 따르면 원전 오염수 해양 투기 후, 1년 안에 우리 바다에 도달할 것이라고 한다. 도쿄전력에서 처리 대상으로 밝힌 62종의 방사능 물질 가운데 반감기가 1년이 넘어가는 물질만 22개에 달한다. 이 방사능 물질이 우리 해역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방사능물질이 지구상에서 가장 큰 연속 수역인 태평양을 통해 우리 바다로 들어오는데, 고작 조사 지점을 확대한다고 해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뿐만 아니라 바다에 투기 된 방사능 물질은 먹이사슬을 따라 상위로 올라갈수록 독성이 증폭되거나 농축될 수밖에 없다"며 "바다에는 국경이 없다. 먹이사슬을 따라 방사능 물질의 독성이 증폭되고 농축된 어류가 우리 국민의 식탁에 오르지 말란 보장이 없다. 실제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세슘에 오염된 참치가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잡힌 사례가 이같은 주장을 증명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정부가 끝까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투기를 묵인한 결과 우리 해역에서 방사능 수치가 증가하면, 국민에게는 수산물 섭취 중단을 권고하고 수산인에게는 생계를 포기하라고 종용할 셈인가. 또, 정부가 수산인의 생계를 위해 일본에 구상권 청구라도 할 계획인가, 아니면 강제동원 피해자 사례처럼 우리 정부가 수산인 생계 지원을 하겠다는 것인가"라고도 했다.

이와 함께 윤석열 정부가 일본 정부에 오염수 해양 방류 외 다른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을 요구하지 못하냐고 따졌다.

윤 의원은 "일본은 원전 오염수 처리와 관련해 해양 방출, 수증기 방출, 수소 방출, 육상 보관 등의 방법 중 해양 방출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어 "해양 방출이 아닌 대형 저장탱크에 보관하면 방사능 물질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구나 현재의  ALPS(알프스) 기술적 한계가 해소된 후에는 냉각수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다. 오염수를 시멘트와 모레로 고체화해 저장하는 방식은 이미, 미국 사바나강 핵시설에서 활용한 바 있는 검증된 방식"이라고 전했다.

윤 의원은 "원전 오염수 처리에 다른 대안이 있음에도 일본이 해양 방출을 고집하는 이유는 돈 때문"이라며 "해양 방출은 단지 350억원이면 처리가 가능하다. 세계 3위 경제 대국에서 고작 돈 때문에 인류를 위기에 빠뜨리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윤 의원은 "왜, 우리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보다 일본의 주머니 사정을 우선시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며 "이곳에서 4일째 단식하는 이유는 우리 국민을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기 위함이고, 우리 수산업의 궤멸을 막기 위함"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