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참사 수습 마무리…이젠 경찰 수사 '칼끝은 어디로'
첫 타깃 콘크리트 둔덕, 설계·설치·보강 위법 여부
'기체 결함' 의혹…항공사 정비·점검 불량 가능성
'참사 시작' 조류충돌·비상착륙 대응도 수사 선상
[무안=뉴시스] 김선웅 기자 = 29일 오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태국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수색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4.12.29. [email protected]
[무안=뉴시스]박기웅 기자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의 시신 유해 수습 작업이 마무리된 가운데 수사에 나선 경찰의 칼끝이 어디로 향할 지 이목이 쏠린다.
5일 전남경찰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수사본부에 따르면 경찰은 지난 2일 한국공항공사 무안지사 등 3곳에 대한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분석 중이다.
경찰 수사는 운행과 정비, 시설 등 크게 세 갈래로 나뉜다. 그 중에서도 경찰의 첫 번째 칼날이 향할 곳은 동체착륙을 막아선 착륙유도시설 로컬라이저(LLZ) '콘크리트 둔덕'이 될 가능성이 크다.
흙더미로만 보였던 둔덕 안에는 LLZ 콘크리트 둔덕을 지탱하는 콘크리트 상판 및 기둥 19개가 숨어 있어 인명피해를 키웠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찰은 LLZ 콘크리트 둔덕의 위치가 이착륙장 설치 기준과 설계 세부지침 규정에 맞게 설치됐는지, 최초 설계와 설치는 물론 두 차례 보강 공사나 입찰 과정에 불법이 없었는지 등을 집중 살필 것으로 보인다
경우에 따라 국토부와 항공청, 공항공사, 시공사, 감리 등 콘크리트 둔덕과 관련된 관계자들이 경찰의 수사 대상 1번이 될 수 있다.
[무안=뉴시스] 류형근 기자 = 31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정부합동조사단이 로컬라이저(착륙유도시설) 둔덕에 올라 콘크리트 잔해 등을 살펴보고 있다. 2024.12.31. [email protected]
'정비' 분야 수사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조류충돌 후 랜딩기어 조작 불능과 감속 장치인 '플랩'의 미작동, 유압계통 이상이나 전원장치 '셧다운' 등 기체 문제가 사고로 이어졌다는 의혹부터 규명한다.
경찰은 운항사 측의 정비·점검 불량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기체 정비·점검 현황 자료도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제주항공 김이배 대표이사와 함께 '중요 참고인' 신분으로 출국금지 조치된 인물 역시 정비 부문 임원일 것이라는 주장이 일각에선 나온다.
이번 참사의 출발점이었던 '조류 충돌' 이후 벌어진 동체 비상착륙 과정에 관제사의 조치가 적절했는지도 쟁점 중 하나다.
경찰은 관제사의 첫 착륙허가와 '조류 회피 주의', 조류 충돌에 따른 "메이데이" 선언(긴급구난 신호), 재착륙 지시·시도 등 전 과정에 문제는 없었는지 살핀다.
경찰은 압수수색에서 관제사와 조종사 사이 교신 기록 등 방대한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자료와 함께 관제사의 진술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착륙과 인접 구역의 야생동물을 쫓는 '야생동물통제대'의 사고 직전 활동 등 애초 조류출동 사고 예방을 위한 공항 차원의 대응이 적절했는가도 경찰의 수사 선상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무안=뉴시스] 김선웅 기자 = 2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운영부 사무실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경찰 관계자가 박스를 들고 나서고 있다. (공동취재) 2025.01.02. [email protected]
앞서 지난해 12월29일 오전 9시3분께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동체만으로 비상 착륙하려다 활주로 밖 LLZ 콘크리트 둔덕을 정면충돌하고 폭발했다. 사고로 탑승자 181명(승무원 6명·승객 175명) 중 179명이 숨졌다.
이번 참사는 1993년 7월26일 아시아나기 해남 추락 사고(66명 사망·44명 부상)보다도 사상자가 많아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 중 가장 인명피해가 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