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침 치료' 알츠하이머 개선 효능 과학적 규명됐다

등록 2020.02.27 12:19:1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의학연구원, 태계혈 전기침 자극으로 동물 인지기능 29% 향상

전기침의 알츠하이머 관련 염증 억제 통한 인지기능 개선 작용기전 밝혀

[대전=뉴시스] 한의학연구원은 MicroPET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의 전두엽에서 태계혈 전기침 자극이 알츠하이머 동물의 글루코오스 대사량을 11%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Non-Tg: 정상군, Tg: 알츠하이머 동물군, Tg+KI3: 알츠하이머 동물군에 태계혈 전기침 자극군)

[대전=뉴시스] 한의학연구원은 MicroPET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의 전두엽에서 태계혈 전기침 자극이 알츠하이머 동물의 글루코오스 대사량을 11%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Non-Tg: 정상군, Tg: 알츠하이머 동물군, Tg+KI3: 알츠하이머 동물군에 태계혈 전기침 자극군)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한의학의 대표 치료법인 침(전기침) 치료의 알츠하이머 증상 개선 효능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한국한의학연구원(KIOM)은 임상의학부 이준환 부장 연구팀이 알츠하이머 동물실험에서 전기침 치료의 인지기능 향상 효능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서 이 박사 연구팀은 동물의 태계혈 자리 실험을 통해 전기침 치료의 알츠하이머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실험에서 활용한 태계혈은 안쪽 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중간에 위치한 혈 자리로 건망증, 불면증 등 치료에 효능이 있다.

동물실험은 2주간 3회씩 총 6회의 전기침 치료를 시행한 실험군과 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눠 진행됐다.

우선 연구팀은 행동실험을 진행해 인지기능 개선 정도를 확인했다. 실험 결과 학습능력과 장기기억력 등을 평가하는 신물질 탐색 시험에서 대조군에 비해 태계혈에 전기침 치료를 받은 실험군의 인지기능이 29%가량 향상되는 것이 확인됐다.

또 인지기능 및 기억력을 관장하는 뇌 부위인 전두엽의 활성 개선 정도를 파악키 위해 MicroPET(마이크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및 분석을 실시,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글루코오스 발생량이 11%가량 증가하며 전두엽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어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질환과 높은 상관성을 가진 뇌 염증 변화 관찰을 통해 전기침 치료의 작용기전 확인에 나섰다.

[대전=뉴시스] 한의학연구원은 태계혈 전기침 자극으로 알츠하이머 동물의 베타 아밀로이드와 미세아교세포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했다.(Non-Tg: 정상군, Tg: 알츠하이머 동물군, Tg+KI3: 알츠하이머 동물군에 태계혈 전침 자극군)

[대전=뉴시스] 한의학연구원은 태계혈 전기침 자극으로 알츠하이머 동물의 베타 아밀로이드와 미세아교세포가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했다.(Non-Tg: 정상군, Tg: 알츠하이머 동물군, Tg+KI3: 알츠하이머 동물군에 태계혈 전침 자극군)

단백질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염증 관련 단백질 GFAP, COX2의 생성량이 각 32%, 36%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뇌 염증반응에 주된 역할을 하는 미세아교세포 역시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47%가량 감소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는 전기침 치료가 뇌의 염증 반응을 감소시켜 알츠하이머 증상을 개선한다는 의미다.

추가로 조직면역염색을 통해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발견되며 질환 발생에 주요 요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생성량을 관찰,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생성량이 30% 가량 감소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neuroinflammation(신경염증 학회지)'에 최근 게재됐다. (논문명"알츠하이머 치매 동물모델에서 전기침의 항염증 효과로 인한 기억력 개선 효능)

연구 책임자 이준환 부장은 "이번 연구는 한의약 치료기술인 전기침의 효능뿐 아니라 그 기전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데 그 의미가 있다"며 "향후 한방 병·의원 등 임상에서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연구를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