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온실가스 배출 2년 연속 감소 추정…"코로나·미세먼지 정책 영향"(종합)

등록 2021.06.08 12:00:1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20년 잠정치 6억4860만t…2019년 잠정치 7.3%↓

2018년 확정치 대비 10.9%↓…1990년 이후 감소세

에너지 7.8%·산업공정 7.1% 감소…가정 0.3% 증가

GDP 10억원당 354t, 1인 배출량 12.5t…계속 감소세

"올해 배출량 증가 속단못해…감소 계속 이어져야"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이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유관기관 자료와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해 추계한 2020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은 6억 4860만 t으로 전년 잠정치보다 7.3%, 최정점을 기록했던 2018년 7억 2760만 t보다 1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다. 2021.06.08.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이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유관기관 자료와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해 추계한 2020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은 6억 4860만 t으로 전년 잠정치보다 7.3%, 최정점을 기록했던 2018년 7억 2760만 t보다 1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고 있다. 2021.06.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 정점을 찍은 이후 2년 연속 감소해 지난해엔 2018년 확정 배출량보다 10% 이상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유행,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와 같은 미세먼지·기후 변화 대응 정책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지난해 배출량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코로나19로 위축됐던 경제가 올해 들어 회복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 2년 연속 감소세…"코로나19·정책 영향"

8일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4860만t으로 집계됐다.

잠정배출량은 지난해 에너지월보, 수출입통계, 가축동향조사,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해 추계한 것이다. 실제 확정 통계는 내년 9월에 나올 예정이다.

잠정 배출량 6억4860만t은 2019년 잠정치 대비 7.3% 감소한 것이다. 현재까지 배출량 최정점을 기록한 2018년 확정치 7억2760만t보다 10.9%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뉴시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2019~2020년 배출량은 잠정치. (자료=환경부 제공). 2021.06.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2019~2020년 배출량은 잠정치. (자료=환경부 제공). 2021.06.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에너지 분야와 산업공정 분야에서 전년보다 각각 7.8%, 7.1%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으로 에너지 분야에선 발전, 화학, 철강 등 산업 부문과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가 줄면서 에너지 분야 배출량도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석탄발전량은 가동 중지·출력 제한 등으로 13.6% 줄고, 석탄발전 설비이용률은 70%에서 61%로 감소했다.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1차(2019년 12월~2020년 3월)와 2차(2020년 12월~2021년 3월) 때 배출량은 각각 1100만t, 800만t 준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달리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년 대비 12.2% 늘었다. 총발전량은 563TWh(테라와트시)에서 552TWh로 1.9% 줄어 발전·열생산 부문 배출량은 전년보다 3100만t(12.4%) 감소했다.

수송 부문에선 2019년 대비 410만t(4.1%)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이동량이 줄어들면서 휘발유, 경유 소비량이 각각 2%, 5% 줄었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전년 동기 대비 3% 하락했다. 저공해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 보급 대수가 58만3000대에서 79만6000대로 36% 증가한 점도 배출량 감소를 유인했다.

산업 부문에선 생산량 감소로 배출량이 전년 대비 화학 350만t(7.6%), 철강 240만t(2.5%), 시멘트 220만t(8.9%) 준 것으로 추정된다.

가정 부문에선 전년보다 0.3%가량 소폭 증가했지만, 상업·공공부문에서 도시가스 사용이 11% 줄어 전년보다 150만t(9.9%)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가정 부문 배출량 증가에 대해 "크게 증가한 수치는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같은 경우 난방도일(건물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값)은 오히려 줄었다"면서도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체류 시간 증가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도시가스 소비량이 늘어서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코로나19가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면서도 미세먼지 정책 효과 등의 요인도 작용했다고 봤다.

서흥원 센터장은 "그동안 추진해 온 미세먼지·온실가스 대책 효과도 수반된다고 본다. 산업 분야 생산지수 등이 감소한 부분이 있지만, 반도체, 디스플레이에서는 생산지수가 올라간 부분이 있어 한쪽으로 예단하기 어렵다"며 "코로나19 영향은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전체적으로 미세먼지·온실가스 대책 효과가 같이 섞여 있다"고 설명했다.

GDP 대비·인구당 배출량 감소…"올해 배출량 증가 속단 못해"

[서울=뉴시스] 국내총생산(GDP) 대비 및 인구당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자료=환경부 제공). 2021.06.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국내총생산(GDP) 대비 및 인구당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자료=환경부 제공). 2021.06.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로 국가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출량과 인구당 온실가스 배출량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GDP 10억원당 배출량은 354t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020년 실질GDP(잠정치)는 전년보다 1% 줄었지만, 석탄발전 감소, 배출권 거래제 등으로 7.3%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인당 배출량은 12.5t으로, 전년(13.5t) 대비 7.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부는 올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할 것이란 예측에 대해 아직 속단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 센터장은 "산업 부문 경제활동 증가, 수송 부문 이동량 증가 등이 나타나고 있지만, 발전 부문에서 발전량 자체가 증가해 온실가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발전 부문에서도 일부 발전량 자체는 증가하고 있지만, 석탄발전량이 감소하고 있어 온실가스가 줄어드는 요인도 같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 센터장은 이어 "코로나19로 위축됐던 경제 회복으로 2021년 배출량이 다시 증가할 수 있어 경각심을 가지고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감축 정책을 이행해야 한다"며 "지속적인 배출량 감소를 위해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