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대중 복권 막아라'…전두환 정부, 美 의회 '결의안' 저지 총력전

등록 2022.04.15 11:58: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내정간섭' 운운하며 결의안 철회 촉구 지시

靑, 대책 회의 열어 로비스트 고용 등 논의

美 하원의원 "김대중 문제, 韓 민주화 상징"

[광주=뉴시스] 안현주 기자 = 고(故) 김대중 대통령 서거 9일째인 2009년 8월26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광주시.전남도민합동분향소에서 민주당 광주시.전남도당 관계자 100여명이 영면을 기원하는 9일장 탈상 합동분향식을 갖은 뒤 고인의 영정을 분향대에서 내리고 있다. ahj@newsis.com

[광주=뉴시스] 안현주 기자 = 고(故) 김대중 대통령 서거 9일째인 2009년 8월26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광주시.전남도민합동분향소에서 민주당 광주시.전남도당 관계자 100여명이 영면을 기원하는 9일장 탈상 합동분향식을 갖은 뒤 고인의 영정을 분향대에서 내리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1980년대 미국 의회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활동을 허용하라는 결의안 추진 움직임이 일자 전두환 정부가 저지에 총력을 다한 정황이 드러났다.

15일 외교부는 외교문서 공개에 관한 규칙에 따라 30년 시한을 넘겨 비밀 해제된 정부 문서 2466건(총 40만5000쪽)을 공개했다.

이 중 미국 의회의 김대중 지지와 관련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985~1986년 작성된 문서도 포함됐다.

1985년 12월 존 F.케리 상원의원은 김 전 대통령의 정치활동 허용을 촉구하는 공동결의안을 상원에 제출했으며 다음날 에드워드 페이건 하원의원도 결의안을 냈다. 문서 속 '케리 의원'은 훗날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냈으며 현재 백악관 기후특사를 맡고 있다.

1985년 9월 외교부 본부는 주미 대사관에 보낸 전보에서 결의안 철회를 촉구하라고 지시했다. 문서에서 "전적으로 한국 정부가 판단, 결정할 문제로서 이에 대해 미 의회가 거론함은 명백한 내정간섭"이라며 강한 어조로 문장을 수정한 부분이 눈에 띈다.
'김대중 복권 막아라'…전두환 정부, 美 의회 '결의안' 저지 총력전



김 전 대통령은 내란죄로 복역 중 형 집행정지를 받고 출소, 치료 명목으로 미국에 망명한 지 2년여 만인 1985년 2월8일 귀국한 상황이었다. 2.12 총선 나흘 전으로, 당시 대통령인 전두환씨는 김 전 대통령 귀국 시기에 예민할 수밖에 없었다. 전씨는 '나의 4월 방미 전 김대중이 귀국하면 재수감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단 사실이 앞서 공개된 외교문서를 통해 알려진 바 있다.

주미 대사관은 케리 의원 측 보좌관을 만나 결의안 발의 철회를 촉구하고 다른 상원의원 의사를 타진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그럼에도 케리 의원이 결의안을 내자 그해 12월24일 청와대는 허문도 정무제1수석 주재로 대책 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로비스트 고용, 정치인·경제인의 서한 발송 등을 대안 방안으로 논의했다. 허씨는 "결의안을 계류시킨단 기본 목표 아래 올해 내 주미 대사관의 대상의원 분류 보고가 오면 의원의 성향과 배경세력을 면밀히 연구해 1월10일까지 구체적 대응책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김경원 주미 대사는 이듬해 2월5일 하원 측 결의안 제안자인 페이건 의원을 면담하고 "문제를 공개적으로 시끄럽게 할 경우 부작용만 유발된다"고 지적했다. 페이건 의원은 "김대중 문제가 미국인들에겐 한국 민주화의 상징"이라고 강조했다.

일주일 뒤 페이건 의원은 김대중 가택연금설에 우려를 표명하는 긴급 상용전문을 주미 대사 측에 보냈다. 케리 의원의 외교담당 보좌관도 김 전 대통령 측으로부터 직접 가택연금 사실을 들었다면서, 계류 중인 결의안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주미 대사관 참사관에게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1985년 2월 귀국 후 수시로 가택연금을 당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