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직장인 완생] "교대제 근로자, 휴게시간·연장근무 헷갈려요"

등록 2022.06.11 0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교대제 근로, 업종 특성상 2교대·3교대 등으로 근무

휴게시간, 12시간씩은 최소 1시간·8시간씩은 30분

1일 8시간·1주 40시간 초과시 연장…가산수당 지급

쉬는날 유급처리시 주휴일…비번일 연차휴가 안돼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 최근 경기도의 한 종합병원에 신규 간호사로 입사한 A씨는 근무표를 받아보고 몇 번을 계속 읽어봐야 했다. 3교대 근무인 건 알고 있었지만, '데이' '이브닝' '나이트' '오프' 글씨로 촘촘한 근무표가 낯설고 헷갈렸기 때문이다. 여기에 교대제 근로다 보니 휴게시간이나 연장근로, 휴일, 연차 등은 어떻게 산정되는 것인지도 궁금해진다. 교대제 근로와 관련한 주요 내용을 알아보자.

교대제 근로는 근로자를 2개 이상의 조로 나눠 근무하는 형태를 말한다.

보통 하루 8시간, 주5일로 근무가 일정한 일반 회사와 달리 업종 특성상 2교대, 3교대 등으로 나눠 교대 근무를 한다. 24시간 생산라인이 가동되는 철강·화학 등 생산직과 사회 필수기관인 병원, 경찰·소방 등이 대표적이다.

교대제 근로는 사실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용어는 아니다. 따라서 교대제의 근무형태, 근로시간 등이 법으로 정해진 것도 없다. 각 사업장마다 사업장 특성에 맞게 교대제 근무형태를 짜는 것이다.

근무형태가 다양하지만 여기에선 단순하게 2교대와 3교대를 기준으로 근무·휴게시간 등을 살펴보겠다. 2교대는 12시간씩 주간·야간으로 구분하고, 3교대는 8시간씩 데이(D)·이브닝(E)·나이트(N)로 나눠 가정했다.

교대제 근로자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휴게시간이다.

근로기준법은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는 1시간 이상 휴게시간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오전 9시 출근, 오후 6시 퇴근인 근로자가 점심시간 1시간을 휴게시간으로 제공받는 이유다.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대구의 한 병원에서 코로나19 치료 병동에서 간호사들이 확진자를 돌보고 있다. 2022.01.19. lmy@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대구의 한 병원에서 코로나19 치료 병동에서 간호사들이 확진자를 돌보고 있다. 2022.01.19. [email protected]


이러한 근로기준법상 휴게시간은 교대제 근로자도 똑같이 적용된다.

우선 12시간씩 일하는 2교대를 보면 12시간 안에는 근로시간과 휴게시간이 포함돼 있는 만큼 8시간 기준인 최소 1시간을 휴게시간으로 보장해야 한다. 11시간 근로, 1시간 휴게 또는 10시간 근로, 2시간 휴게 등의 식이다.

만약 실제 근로시간이 12시간이라면 최소 1시간30분이 휴게시간으로, 계약서상 총 시간은 13시간30분이 돼야 한다.

8시간씩 근무하는 3교대는 어떨까. 역시 8시간 안에는 휴게시간이 포함된 만큼 4시간 기준인 최소 30분이 휴게시간으로 부여돼야 한다.

연장근로와 관련해서도 궁금해하는 교대제 근로자들이 많다.

연장근로는 법정 근로시간인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해 일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1일 기준과 관련해 묻는 경우도 많은데, 예컨대 당일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이틀에 걸쳐 일하는 경우는 하루로 보면 된다.
[인천=뉴시스] 백동현 기자 = 지난달 23일 오후 인천 서구 사조대림 인천공장 생산라인에서 식용유 생산이 한창이다. 2022.05.23. livertrent@newsis.com

[인천=뉴시스] 백동현 기자 = 지난달 23일 오후 인천 서구 사조대림 인천공장 생산라인에서 식용유 생산이 한창이다. 2022.05.23. [email protected]


이를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자.

만약 '주/주/야/야/비번/비번/주…'로 2교대 근무(근로시간 10시간·휴게시간 2시간)를 하는 근로자가 있다고 가정하면 1일 8시간 초과는 매일 2시간씩 10시간, 1주 40시간 초과도 10시간이 돼 연장근로는 10시간이 된다.

1일 초과 시간과 1주 초과 시간이 다를 때도 있는데, 이 때는 초과 시간이 더 많은 쪽을 연장근로로 하면 된다.

연장근로에 대해서는 가산수당(통상임금의 50%)을 지급해야 한다. 임금에 1.5배를 가산하면 된다. 근무시간 안에 야간근로(오후 10시~오전 6시)가 포함돼 있다면 이 경우는 0.5배만 지급하면 된다.

'D/D/E/E/N/N/비번…'으로 3교대 근무(근로시간 7시간·휴게시간 1시간)도 가정해보자. 이 때는 1일 8시간 초과는 없지만, 1주 기준으로는 42시간으로 2시간을 초과해 연장근로는 2시간이 된다.

교대제 근로자의 주휴일은 어떻게 될까.

주휴일은 1주간 소정근로일(일하기로 한 날)을 개근한 경우 1일의 유급휴일을 부여하는 것이다. 보통 일반 직장인은 토요일이 주휴일이지만, 교대제는 그때그때 바뀌는데 쉬는 날 중 하루가 유급처리 됐다면 주휴일을 보장받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교대제 근로자에게 비번일에 연차휴가를 쓰도록 해서는 안 된다. 연차휴가는 근무일에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